테마가 있는 공설자연장지조성사업 추진을 환영하며
상태바
테마가 있는 공설자연장지조성사업 추진을 환영하며
  • 김인호 기자
  • 승인 2020.09.24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천연기념물 103호 속리산 정이품송 후계목이 보은군 공설자연장지에 활용될 전망이다. 군은 정이품송 유전자원 보존과 자연장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주민에게 친근한 이미지인 정이품송 브랜드를 활용하는 정이품송 후계목 수목장 조성계획을 세웠다. 관계자는 “시범적으로 정이품송 수목장을 조성한 뒤 추모공원 주변에 정이품송 후계목을 더 심어 ‘정이품송 추모공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공설자연장지를 추모와 휴식이 있는 공간 뿐 아니라 테마가 있는 자연장지로 조성한다하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군은 2022년 하반기 개장을 목표로 보은읍 누청리 산58-1 공동묘지 일대 5만8397㎡에 총 106억 원을 들여 자연장지 추모공원을 조성 중이다. 지난 5월 추경예산에서 군립추모공원 기본설계비 8억3000만원을 편성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토지보상비 7억원도 확보했다. 군은 현재 사업부지 내 분묘연고자 조사에 들어가 토지보상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소나무는 우리민족이 가장 선호하는 나무 중 하나다. 반만년의 역사를 이어오면서 우리와 친근함은 물론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은행나무 다음으로 오래 사는 나무로 장수의 상징이며 십장생의 하나로 삼았다. 우람하고 거대하게 자란 노목은 장엄한 모습을 보이고 사계절 푸르름과 줄기와 가지, 잎은 아름다운 조화를 만들어 내며 항상 푸른 기상은 곧은 절개와 굳은 의지를 상징하기도 한다.
정이품송은 수령이 약 600년 된 천연기념물이다. 조선 세조의 보은 행차 때 어가 행렬이 무사히 통과하도록 가지를 스스로 들어 올려 벼슬을 받았다는 전설을 갖고 있는 한국의 대표 소나무다. 군은 10년 전부터 천연기념물 생물자원화 극비 프로젝트로 육성중인 정이품송 후계목 50~100여 그루를 수목장에 옮겨 심어 테마가 있는 정이품송 추모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보은군은 2010년부터 장안면 2곳 2.4㏊의 양묘장에서 정이품송 후계목 1만여 그루와 정부인소나무 후계목 1만1000여 그루의 자목을 키워왔다. 날로 노쇠하고 있는 정이품송의 유전자원을 보존하려는 취지다. 후계목은 정이품송의 솔방울을 채취해 발아시켜 키워온 묘목으로 현재 높이가 4m, 밑동지금은 약 10㎝ 정도다.
주민들은 정이품송 후계목으로 추모공원을 조성하는 것에 대해 내심 반기리라 여겨진다. 보은의 상징인 정이품송의 후계목이 있는 추모공원이라면 역사성이라든가 상징성이 있다. 정이품송을 오래 보존하고 후계목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후계목 육성의 본래 취지도 살릴 수 있다. 이런저런 이유로 망자나 유가족 입장에서도 뿌듯하게 생각할 것으로 사료된다.
군은 그동안 추모공원사업 추진에 장애가 되었던 주민동의와 보은군의회 승인을 끌어냈다. 정상혁 군수의 핵심 공약인 만큼 군비 87억원 마련은 그렇다 치고 앞으로 국비 약 20억원을 확보해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국비 확보에도 차질이 없었으면 한다.
보은군이 공설자연장지를 조성하려는 이유는 명확하다. 임야와 산림의 무분별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매장문화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매장문화가 바뀌고 있다. 선산에서 추모관 및 수목장 등으로 장례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벌초를 하고 성묘를 할 사람이 없을 것 같아 조상에게 불효를 저지르니 차라리 이장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개인별 분묘 조성은 유족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겨준다. 일정기간 경과 후 사후관리 부재로 발생되는 분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보은군 인구의 약 33%가 65세 이상 노인이다. 수년 내에 연간 사망자수가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란 관측이다. 또 전체 가구 1만7000세대 가운데 1130세대만이 임야를 소유했다. 나머지 1만5870세대는 묘지를 농지에 쓸 확률이 높다. 무엇보다 장지 조성에 공감하는 주민들이 많다. 보은군이 추진하는 자연친화적 공설자연장지 조성 사업이 주민에게 호응 받으며 2022년 6월 정 군수 임기 내 잘 매듭지어지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