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최장의 장마에도 피해 경미
과거 수해상습지역이었던 보은군이 수해 안전지대로 변모하고 있다. 올해 56일간의 긴 장마와 집중호우에도 보은군의 비 피해는 다른 지자체보다 미미하게 나타났다. 보은군이 과거 3차례 경험했던 물난리 때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보은군이 오랜 시간에 걸친 각고의 노력이 있었기에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군에 따르면 보은군은 1980년 7월 22일 11시부터 17시까지 보은군내 6개 읍면에 평균 220㎜(시간당 최고 강우량 337㎜)의 집중호우로 인명피해 173명(사망97, 실종2, 부상74), 이재민 1만7645명, 건물피해 4669동, 농경지 3361ha, 농작물 5168ha 등 396억 4800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이어 1998년 8월 11일에서 18일까지 795㎜의 강우와 8월 12일 409㎜의 집중호우로 사망 2명, 주택 1446동, 농경지 2311ha 침수 등 총 921억 8400만원의 피해가 있었다.
이어서 지난 2017년 7월 16일 5시간 동안 2개면에 집중호우 (내북면 209㎜, 산외면 137㎜)로 사망 1명, 하천제방 유실, 농경지 피해 14.8ha 등 재산 피해액은 31억 7900만원에 달했다.
올해 7월과 8월 보은군 평균 강우량은 900㎜를 기록했다. 7월 28일~30일 3일간 174.7㎜, 8월 1일부터 11일까지 267.4㎜의 강우가 있었고, 태풍 바비가 지나간 8월 26~27일 2일간 34.1㎜, 이어 28~30일 102.6㎜ 강우량을 보였다. 한때 보은읍 중심을 흐르는 보청천 수위는 최근 11년 만에 최고 수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처럼 많은 강우에도 보은군은 주택침수 1동, 농경지 유실 175건, 도로유실 5건, 하천시설 17건, 농로.용배수로 3건, 마을 안길 소규모 시설 9건, 산사태 등 32건 등 총 68건에 피해액은 7억7300여만원에 불과하다. 전국 각지 수해에 비하면 보은군 수해는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도로·교량 등 시설물 개선에 중점
보은군은 지난 10년간 관내 19개소 도로사업에 343억원을 들여 25km를 정비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추진한 보청저수지 뚝 높임 사업에 따른 신궁·세촌간 도로이설 1.1km를 16억5000만원을 들여 준공했다. 이어 미개통 구간으로 남은 세촌·갈티간 1.5km를 49억 예산으로 완공함으로써 군도 2호선인 회인면과 내북면간에 상호 교류와 협력을 통한 지역발전에 새로운 계기가 마련됐다.
국립공원으로 묶여 지난 40여간 폭 4m의 좁고 굴곡이 많은데다 겨울에 눈이 쌓이면 교통 두절로 불편하였던 도로는 2010년 민선 5기 출범 후 규제구간 1,670m에 대해 환경부에 도로 확장의 당위성을 누차 설명한 끝에 2014년 4월 국립공원심의에서 사업승인을 받아 2015년 4월부터 2019년 8월까지 4년 4개월간에 108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폭 8~10m 확포장과 2개소의 교량 가설로 주민불편이 해소됐다.
보은군은 또 지난 10년간 가재골 소교량 1억, 만수4교 6억, 고석교 6억, 오정교 3.5억, 율산1교 1억, 동산교 3.4억, 산성교 19억, 봉평교 9억, 중동교 20억, 동암교 4억, 강산교 17.5억, 임곡교 2.5억, 송현교 5억, 중초2교 1.5억, 내망1교 0.8억, 수문2교 0.8억을 들여 노후교량 재가설 16개소와 북암교 2.5억, 송죽교 1억, 성족교 2억, 은운교 5억, 고석교 3.5억, 동정교 6억, 묘서2교 3억을 들여 신설교량 7개소 등 총 23개소의 교량을 가설했다.
군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D급 중동교 등 노후교량 8개소와 소하천내 오정교 등 노후교량 8개소, 총 16개소에 101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520m의 노후교량을 재가설해 지역주민 900세대 1,698명이 안심하고 통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군은 관내 소하천 등에 교량이 없어 우기시 통행이 불편하였던 성족리 소교량 등 7개소에 23억원을 들여 133m의 교량을 신설했다. 지역주민들 338세대 653명이 마음 놓고 생활 할 수 있도록 편의를 도모했다. 봉평리 교량은 노후로 부식이 많이 돼 차량 통행 시 불안했으나 이제는 높고 튼튼하게 잘 놓아 지나다니는데 걱정이 없게 됐다.
특히 보은군은 교량을 가설함에 있어 가각부를 넓게 둠으로써 회전차량의 이동을 원활히 했다. 교량 가설시 하천 및 소하천의 계획홍수위 상부 여유고 상단에는 스라브를 설치해 교량의 통수단면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원활한 유수흐름의 도모는 물론 진출입 차량의 안전을 도모했다.
또한 보은군은 2019년 10월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으로 판정되어 재가설이 필요한 이식교에 대하여는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이 달천에 대한 하천기본계획수립(2021년 8월) 이후 하천에 대한 제원(계획하폭 및 계획홍수위)을 받아 교량을 설계하여 2022년에 준공 할 계획이다.
군은 제방 상부 포장을 통해 월류시 제방 세굴방지와 평상시 농로로 활용함으로서 주민들에게 영농편의를 제공하였고, 유사시에는 하천시설물의 신속한 점검로로 이용하여 재해사전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사방사업에도 역량 집중
‘사방댐’ 등 사방시설이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은군은 산림재해로부터 인명·재산피해 예방을 위해 최근 2010년부터 내북면 동산리 1개소(2.6억), 법주리 1개소(2.2억), 화전리 2개소(4.9억), 마로면 원정리 1개소(2.3억), 임곡리 2개소(3.9억), 적암리 2개소(48억), 한중리 1개소(2억), 보은읍 대야리 1개소(3억), 성족리 1개소(1.5억), 어암리 3개소(6.5억), 용암리 2개소(3.2억), 종곡리 4개소(8억), 학림리 1개소(2.4억), 산외면 구티리 1개소(1.5억), 대원리 1개소(2.7억), 백석리 3개소(6억), 봉계리 1개소(2.4억), 산대리 1개소(2억), 아시리 1개소(1.7억), 원평리 3개소(6.8억), 삼승면 내망리 1개소(1.8억), 서원리 1개소(2.2억), 천남리 1개소(2.2억), 원남리 1개소(1.5억), 속리산면 갈목리 5개소(11.7억), 구병리 1개소(2.1억), 백현리 1개소(1.5억), 중판리 1개소(2억), 수한면 거현리 2개소(4.6억), 묘서리 1개소(1.9억), 산척리 1개소(2.3억), 차정리 1대소(2.4억), 장안면 봉비리 2개소(4.7억), 서원리 1개소(1.7억), 장안리 1개소(2.5억), 탄부면 대양리 1개소(1.4억), 회인면 송평리 1개소(1.7억), 신문리 1개소(1.9억), 쌍암리 2개소(4.1억) 총124억6000만원을 들여 59개소의 사방댐을 설치했다.
보은군은 또 보은읍 중초리 2ha(1.5억), 금굴리 2ha(1.3억), 대야리 1ha(1.2억), 탄부면 고승리 1ha(1.1억), 수한면 거현리 1ha(0.2억), 내북면 동산리 1ha(0.8억), 산외면 산대리 1ha(0.6억), 중티리 1ha(0.8억) 등 총 7억5000만원을 들여 10ha의 산지보전사업을 실시했다. 회인면 건천리 1ha(0.7억), 산외면 장갑리 1ha(1.4억)에는 총 2억1000만원을 들여 2ha의 산사태예방사업을 펼쳤다.
보은읍 성족리 1㎞(1.8억), 신함리 1㎞(2.1억), 어암리 2㎞(2.6억), 종곡리 3㎞(3.9억), 속리산면 갈목리 4㎞(5.8억), 장안면 서원리 1㎞(1.3억), 마로면 송현리 1㎞(1.2억), 탄부면 성지리 1㎞(1.7억), 삼승면 천남리 3㎞(4.3억), 수한면 차정리 1㎞(1.4억), 거현리 1㎞(1.6억), 광촌리 1㎞(1.4억), 내북면 상궁리 1㎞(1.4억), 법주리 2㎞(1.5억), 신궁리 1㎞(1.3억), 동산리 2㎞(3억), 산외면 백석리 1㎞(1억) 등 총37억3000만원을 들여 계류보전사업을 각각 실행했다. 마로면 원평리 1개소에는 8억4000만원을 들여 산림유역관리사업을 했다.
또한, 이미 설치된 사방댐이 호우시 재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은읍 강산리 1개소(0.2억), 어암리 5개소(2.2억), 속리산면 중판리 1개소(0.1억), 갈목리 4개소(2.7억), 만수리 1개소(0.4억), 장안면 봉비리 1개소(0.9억), 마로면 소여리 2개소(0.2억), 적암리 1개소(0.6억), 갈평리 2개소(1억), 삼승면 원남리 1개소(0.1억), 선곡리 2개소(0.1억), 수한면 차정리 1개소(1억), 회인면 송평리 2개소(0.7억), 내북면 법주리 1개소(0.2억), 성티리 2개소(0.4억), 화전리 3개소(0.2억), 산외면 신정리 7개소(1.5억) 등 총 12억5000만원을 들여 사방댐 37개소를 준설했다.
보은군에는 7~8월 집중호우와 많은 강우량에 일부 산림과 도로 사면, 급경사지 등에 토사가 유출되는 피해가 발생했지만 사방댐 등이 설치된 지역은 피해가 없었다. 특히, 내북면 화전리와 마로면 한중리는 마을 상류에 계곡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곳으로 지난해와 올해 사방댐을 설치해 피해를 비껴갔다.
사방댐은 폭우 등으로 산속 계곡에서 흙과 돌, 나뭇가지 등이 떠내려 오면 하류로 내려가지 않도록 막아주고 물만 흘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보은군은 “앞으로도 기존교량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수.보강으로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주민 생활과 밀접한 도로 및 교량 등을 적기에 설치해 지역주민들의 정주여건을 향상 시키는 한편, 사방사업 확대를 통해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다음호에는 지방하천으로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