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 관리계획 토론회 개최
상태바
속리산 관리계획 토론회 개최
  • 송진선
  • 승인 2002.10.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주민 참여, 의견 개진
국립공원 속리산 관리사무소(소장 조길제)는 지난 9일 레이크힐스 호텔에서 자체적으로 입안한 관리계획안을 토대로 전문가와 지역 주민들을 초청해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속리산 관리계획은 속리산 국립공원을 자연환경이 잘 보전된 아름다운 국립공원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원관리의 문제점을 도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국립공원 현장관리 기반을 구축함은 물론 속리산의 특성에 맞는 공원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속리산의 생물 자원 및 경관자원, 문화자원은 식물 자원 872종, 동물자원 포유류 16종, 조류 70종을 비롯해 1006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관자원도 문장대, 천황봉 등 주요 봉우리와 화양계곡 등 계곡, 은폭동 폭포, 오송폭포 등 폭포를 갖고 있으며 국보 3점, 보물 9점 등 47점의 문화자원을 가지고 있다.

이들 자원을 비롯한 공원관리를 위해 속리산 관리사무소는 내년 30억4100만원, 2004년 51억3300만원 등 연차적으로 총 490억5300만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에 전문가로 참석한 생태연구소 한봉호 박사는 자연자원 중에 속리산 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그 하나로 소나무림을 들었는데 속리산 소나무림의 경우 전국 어느 국립공원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중요한 자원이라고 제시했고 노각나무림, 망개나무 등 세계적으로 훌륭한 식물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외에 토지 소유 문제, 입장료로 마찰을 빚고 있는 사찰과의 관계, 집단 시설지구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모임의 윤주옥 사무국장은 국립공원에 시설물을 설치해 특별한 곳으로 만들기 보다는 특별한 자연 자원이 특색있는 것이라면서 지리산의 반달곰, 월악산의 산양이 그 국립공원을 특색있게 만들고 다시 찾게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또 법주사는 빼놓을 수 없는 문화자원이라며 관심을 기울일 것을 주문하고 휴게소의 관리계획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탐방안내소의 프로그램 운영도 중요하다며 사찰 체험 프로그램, 계곡 체험, 지역사회 체험, 수학여행단, 단체 여행단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등도 속리산을 특화시키는 주요인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속리산 관리사무소는 이번 토론회 내용을 관리계획에 반영하고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