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와 인적 네트워크도 강화할 수 있어
군정의 장기 비전 등 정책에 대한 폭넓은 자문을 구해 지역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자문위원회는 보은은 물론 충북 등 전문가를 비롯한 출향인 및 학자 등 외부인까지 확대 운영해 중앙정부와도 인적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도록 정책고문을 위촉해 군정 발전을 꾀해야 한다는 것.
이미 일부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서 공식적으로 도정 및 시정 발전을 위해 정책자문을 구할 수 있는 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기초단체의 경우에는 주로 기업유치 자문단을 꾸리고 있는데 영월군의 경우도 산·학·연
·관 등 각계 전문가로 인적 인프라를 확충했다.
앞으로 영월군은 지역으로 신규 전입하는 기업체 CEO는 물론 재경 출향인사 등을 기업유치 자문관으로 위촉해 업체 유치에 다각적으로 협조를 받는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가 하면 충북도는 물론 특별자치도인 제주도도 정책고문단을 운영하고 있다.
제주자치도 정책고문은 자치입법. 자치재정. 자치교육 및 자치경찰 관련에서 부터, 문화예술. 관광정책. 투자유치 관련, 지역경제. 1차산업 및 통상협력 정책 관련, 환경보전. 균형발전 및 광역도시정책 관련 등 4개 분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인적자원이 취약한 보은군도 정치인, 출향인, 학계 등을 망라하고 또 외부인이더라도 정책자문위원으로 위촉해 군정에 자문을 받고 또 이들이 중앙정부는 물론 도 등에서도 보은군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홍보해 군정 비전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
정책고문들로 부터 미래비전과 발전방향에 대한 여러가지 대안을 제시받아 지역 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더욱이 이는 최근 바이오농산업단지 유치 및 내년 청원∼상주간 고속도로 완공 등으로 지역개발을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해 환경보전과 도시정책과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심도 있는 자문이 더욱 요구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