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사업 해결 및 지역경제 부흥 위해 협의기구 상설화 필요
민선 4기 출범 및 지역구 국회의원이 국회 부의장에 등극한 것과 맞물려 국회의원과 군, 군의회, 도의원간 사각 공조체제의 역할론이 부각되고 있다.재정자립도가 취약한 보은군의 안정적인 재원 확보는 물론 농업문제 뿐만 아니라 관광 및 시장경제 등 침체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만만치 않은 현안들이 산적해있기 때문이다.
1일 출범한 민선 4기 보은군정은 ‘살맛 나는 새 보은, 행복한 새 보은’으로 새로운 지방자치시대를 개막하고 새 보은을 건설한다는 점에서 뜻깊은 의미와 기대를 불러모으고 있다.
민선 1, 2, 3기 동안 국회의원 및 도의원과 친밀한 공조체제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는 보은군민들은 이번 민선4기야말로 도의원 및 국회의원과 공조를 이뤄 지역발전에 시너지 효과가 일어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은 군수나 도의원, 국회의원이 모두 주민들의 선택에 의해 선출된 정무직들로 군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각종 예산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자기의 성과물로 하는 등 알력이 생겼을 정도였다.
부탁하는 것을 자존심 상해하거나 심지어는 행사에 초청돼서는 자리다툼까지 벌였던 적이 있기도 하고 소속 정당이 달라 소원해지는 관계에 있는 등 공조를 이루기보다는 필요악인 관계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내부적으로 중앙정부나 도로부터 지역개발을 위한 예산이나 사업을 확정받는데 다른 지역에 순위가 밀리거나 연초에 할 것이 연말에 되는 등 시기가 늦춰지는 사안이 있었을 수 있다는 것이 주민들의 생각이다.
하지만 이번 민선4기는 군수와 국회의원의 소속 정당이 같고 또 보은을 선거구로 한 이용희 국회의원이 국회 부의장이기 때문에 군수와 국회의원, 도의원, 군의회가 공조를 이뤄 지역개발을 위한 사업 추진은 그 어느 때보다도 여건이 좋다는 것.
따라서 민선 4기 보은군정이 풀어나가야 할 산적한 숙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형식적으로 보은군이 필요할 때만 도의원을 찾아가고 국회의원을 찾는 원시적이고 형식적인 공조가 아니라 군과 국회의원, 도의원, 군의회간 협의기구를 상설화 해 균형적인 해결점을 모색하는 삼각 도는 사각 공조체제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주민들은 “군정의 일관된 정책 추진, 군의회의 갈등 조정기능 수행, 도의원의 도 협상력, 지역 국회의원의 중앙 절충력 등이 균형있게 맞물리기 이해서는 이들간의 공조가 이뤄지는 협의기구가 크게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은 시스템이 요구되고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