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녀봉 아래 축사 설치 동학 혁명지 포토아일랜드 상실
옥녀봉 아래 농경지 내 돌성 흔적이 남아있는 장안 동학 농민혁명지는 머지않아 옥녀봉과 돌성 흔적을 찾기가 어려울지도 모르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어 학자와 뜻있는 주민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현재 동학 취회지 권역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안 옥녀봉 아래는 이미 축사가 들어서는 등 옥녀봉과 장승, 돌성 등으로 돼 있던 취회지의 모습이 상당히 변형되게 됐다.
현재 동학혁명지를 답사하는 외지인들에게 장안이 취회지임을 알려주는데 역할을 했던 장승보다는 축사가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물론 그동안 옥녀봉 아래 돌성을 배경으로 아사달에서 장승을 설치해놓아 사진에도 정겨운 모습을 담을 수 없게 됐다.
더욱이 이같은 취회지 현상의 변경은 앞으로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취회지였던 농경지가 현재는 농업진흥지역이지만 농지법이 개정되고 또 농업진흥지역에 대한 용도 변경이 전망되기 때문이다.
장안 동학농민혁명의 취회지는 다행히 농경지로 이용되고 적으나마 돌성 등이 남아 있어 동학성지로서의 면모를 느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동학 농민혁명 취회지였던 장안과 최후 전투지인 북실의 동학농민군 집단 매장지에 대한 사적지 지정을 제기하면서 사적지 지정 요건을 갖추기 어려울 경우 우선 보은군이 향토 유적 보호조례를 제정해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군 조례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북 완주군의 경우 ‘완주군 향토유적 보호조례’를 제정해 문화재보호법, 전라북도지정 문화재보호조례 규정에 의거 지정되지 아니한 것으로 향토 역사상, 예술상, 학술상 가치가 있는 것과 이에 준하는 향토자료를 보호하고 있다.
또 완주군 향토유적심의위원회를 구성해 향토유적의 지정과 해제, 보호,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있다.
보은군도 이같은 행정적인 장치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동학취회지 등 중요한 사적지가 더욱 훼손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장안 돌성이 사실 고증이 된 것도 아닌 상태이고 주민들도 본인들이 논에 있는 돌을 주워 쌓다고 할 정도로 동학 혁명당시의 돌성이라는 확증이 없는 상태이고 또 사적지로 지정되면 주변 개발에 지장이 되므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