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지역은 내속리면과 외속리면, 회북면이고 마을은 장내리, 황곡리, 장재리이다.
해당 지역의 세대원 80% 이상이 찬성을 하면 행정구역 명칭이 변경되는 것이다.
12월말까지 조사하는 것이니까 이들 지역이 주민들이 원하는 대로 바뀔 수 있을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있다.
찬성이 많아 명칭을 변경할 경우 지도 뿐 아니라 각종 문서, 주민등록 등 행정적인 작업이 뒤따라야 된다. 많은 예산수반도 뒤따라야 한다
이번 사업을 취재하면서 아쉬움이 많다. 보은군은 행정구역 명칭 변경을 추진하면서 변경대상 지역을 읍·면에 공문을 시달해 조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명칭변경의 주도적인 주체가 면이 되고 있는 것이다.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는 생각이다. 주체가 면이 아닌 군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단순하게 행정구역 명칭으로만 이를 해석할 경우에는 지금과 같은 절차가 맞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사업은 단순하게 일부 거론된 행정구역 명칭 변경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동안 일제에 의해 왜곡된 지명으로 논란이 있었던 지명 등 지역 전체 지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해 명칭을 변경하는 것으로 시작했어야 한다.
그동안 일제에 의해 왜곡된 지명이라며 바로 잡을 것을 주장하는데 속리산 ‘천황봉’, 탄부면 구암리, 산외면 구티리가 있다.
천황봉(天皇峰)→천왕봉(天王峰), 구암리(九岩里)→구암리(龜岩里), 구티리(九峙里)→구티리(龜峙里)로 바로 잡아야 한다는 의견인 것이다.
이미 녹색연합이 2004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백두대간이 지나는 전국 32개 시·군의 자연 지명과 행정지명을 조사시 왜곡된 지명들이라고 발표까지 한 바 있다.
이에 대한 객관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일제에 의해 ‘창지개명(創地改名)’ 된 지명으로 이해된다.
속리산 천황봉은 산림청에서도 지난해 10월부터 ‘우리 산 이름 바로 찾기’ 캠페인을 벌여 국민들이 천왕봉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 산림청에서도 지명변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 보은군이 실시하고 있는 행정구역 명칭 변경 사업은 학술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채 주민들의 의견만 들어 명칭을 변경하는 쪽으로 진행, 반쪽 사업에 그칠 우려가 크다.
지명 전체를 대상으로 왜곡된 지명이 없는지 고지도 및 옛 문서 등을 수집해 학술조사를 실시하고 지명 변경에 따른 찬반조사를 벌여야 한다.
마을 이름은 마을에서 유래하는 전설이나 특이한 지형지물을 따서 지은 경우가 많은데 행정편의를 위해 쉬운 한자로 고쳐 원형이 크게 왜곡된 채 사용,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보은문화원이 발간한 지명지에 의하면 보은군의 법정마을의 지명 대부분이 1914년 일제의 통치 하에 들어간 후 일제가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지명이 개명된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일제에 의한 왜곡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 다른 자치단체에서는 일본의 역사 왜곡 건이 촉발된 이후 지역 전체 지명에 대한 조사를 벌여 이같은 왜곡된 지명을 바로 잡는 등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노력들이 벌어지고 있다.
정읍시는 외세에 의해 변형되거나 왜곡된 사례에 대한 일제조사활동을 벌여 왜곡사항을 기록 정리하여 자료로 보존하고 여론을 수렴해 외세의 잔재를 말끔히 청산한다는 방침이다.
조사대상은 ▲외세에 의해 유적지 건물이 철거되고 새로이 건축된 사례 ▲외세에 의해 지명이 변경된 사례 ▲민족정기 말살을 위하여 지형을 바꾸거나 단절한 사례 ▲광복 후 일본식 지명을 한국식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왜곡된 사례 등이라는 것.
현재 정읍시는 마을의 원로나 지역에서 출생, 오래 거주한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조사에 나서고 있다.
강원도 동해시도 행정상 혼란을 주는 중복되는 지명을 바로잡기 위해 오는 12월 9일까지 일제 때 의도적으로 바꾼 지명을 접수하고 있다.
원형이 훼손된 지명, 잘못 바뀐 지명, 중복 지명 등을 바로잡기 위한 이번 사업에는 땅의 상징성과 조상의 얼이 깃든 역사적 지명 등으로 부르기 쉽고 발음상 혼란이 없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왜곡된 지명을 바로잡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 수백년 전부터 조상들이 부르던 마을이름의 어원이 없어질 상황이다.
더욱이 마을의 옛 이름을 잘 알고 있는 어른들이 점차 사망해 없을 경우 자라나는 세대들은 마을의 어원조차 모른 채 일제 때 표기한 한자가 어원인 것으로 잘못 인식할 소지도 높다.
그래서 일제에 의해 왜곡된 지명을 바로잡는 지명개정 작업은 보은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한 이번 행정구역 명칭 변경을 한 후 추후 이같은 지명 바로 잡기 작업이 이뤄질 경우 똑같은 절차와 인력, 예산 등이 수반될 것은 뻔하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 번에 끝낼 수 있는 것을 두 번에 하는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아쉬움이 크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