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도읍 사업 탈락을 보고
소도읍 종합 육성 사업이 지역의 균형 개발이라는 중론에 밀려 북부권과 중부권에 내줬다는 말을 들었을 때 정말 안타까웠다.균형개발이 사업을 선정하는데 주된 명분이었다면 보은군 보다 더 적합지가 어디 있겠는가
인구면에서나 지방세수면에서나 보은군 보다 더 열악한 지역이 도내 어디 또 있을까.
보은군이 그만큼 열악하기 때문에 다른 자치단체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오히려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국·도비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북부권, 중부권, 남부권으로 구분해 지역을 선정하는데 권역간 균형을 맞춘다는 명분을 갖고 있는 위원들에게 지역의 균형 개발이라는 측면의 명분으로 보은군이 노력했다면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생각할 때 아쉬움은 더욱 크다.
보은군의 사업 내용이 좋았는데 탈락돼서 안타깝다고 소도읍 종합육성 정책심의회 위원들도 말했을 정도였다고 하니 균형 개발이라는 명분을 보은군이 좀더 로비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수도 있다.
어느 지역의 경우 수개월 전부터, 또 어느 지역은 1주일 전부터 군수, 도의원, 해당 업무 과장은 물론 담당 과장이 아니더라도 관련 실과장 등이 치열하게 홍보활동을 전개하는 등 사업 채택을 위해 로비(?)를 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사업이 일단 충북도에서부터 선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업 채택으로 수백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할 수 있고 이 사업 시행으로, 지역의 지도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사활을 건 것이다.
하지만 보은군은 홍보활동이 미약했다는 것. 해당 업무 과장과 해당 부서의 장을 비롯한 직원들만 홍보활동을 하는데 그쳤다.
그것도 수개월 전부터가 아니라 심의회 개최 일에 임박해서 사업 내용을 홍보하는 수준에 다름 아니었다.
물론 사업 내용만으로 승부를 걸어야 하지만 대부분 전문 회사에 용역을 줘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때문에 테마만 잘 잡으면 사업 내용의 질적 수준은 자치단체마다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어떻게 그 사업을 포장해서 홍보하느냐가 사실상 관건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홍보활동, 즉 로비가 필요한 것이다.
보은군은 내년 소도읍 종합육성 사업을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내년에도 도에서 2개 지역을 선정한다고 할 때 내년에는 선정되지 못한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신청한다고 하면 보은군이 채택되리라고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럴리는 없겠지만 이런저런 명분에 밀려 막차를 탈 수 있다는 얘기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