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인 지원조건 ‘현장중심’형으로 전환돼야”
상태바
“귀농·귀촌인 지원조건 ‘현장중심’형으로 전환돼야”
  • 천성남 기자
  • 승인 2012.03.15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재문(66)보은귀농·귀촌협의회장
“오는 15일 발효될 한·미FTA로 전 농·축업인의 생존 위기가 엄습해오고 있습니다. 이런 시점에 농업전문가인 김용택 박사의 강론을 통해 농업인들이 대응 태세를 갖추게 된 계기가 되어 의미가 크다고 봅니다.”
우재문 보은귀농·귀촌협의회장은 결성 1주년 워크숍을 갖고 난 후의 소감을 이렇게 피력했다.
우 회장은 “이번 김용택 박사의 강론 계기는 수년 전 탄부면 석화리(영농법인 표고버섯 배지생산)에 귀촌한 서울대 농대 출신이며 동문인 강태석(69)씨의 주선으로 이뤄지게 된 것”이라며 “때마침 한·미FTA발효시점에 이뤄진 강론으로 지역의 농축업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됐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란 말이 있듯이 아무리 국가 간 국경을 초월한 자유무역시대가 열린다 하더라도 철저한 준비와 정신무장을 하면 생존할 수 있다는 법칙에 입각해 농촌지역을 지켜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우리 농업도 이제는 지역농업의 특별한 고품격화, 특성화가 이뤄져야 하며 그에 따른 마인드도 바뀌어 농업계몽이나 교육선도를 통한 자기계발이 분명 뒤따라야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바로 이런 차원에서 회원들이 십시일반 100만원에서 30만원, 10만 원 등의 예산을 모아 이번 행사를 치르게 되어 더욱 뜻이 깊다.”고 밝혔다.
우 회장은 “행사이전 초청장을 내다보니 이번 행사에 서울과 포항 등에서도 2가구가 참석해 지역에 대한 귀농귀촌에 대한 탐색과정을 온 것 같다.”며 “주로 느끼는 것이지만 귀농귀촌인들이 처음에는 기본인프라가 약해 2년 정도를 버티며 살아가기가 힘이 드는 경우도 있다.”며 “특히 지역에도 귀농귀촌계가 따로 생겼지만 조건이 까다로워 도움이 크게 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보은지역의 귀농귀촌인 지원규정 조건에는 주민등록 이전을 하고 2명이상 2년 이상 거주해야 정착자금 5백만 원을 받을 수 있는데 총각의 경우는 조건에 맞지 않아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지원규정에 있어 탄력적이고 현장중심의 운용조건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은지역의 가장 메리트인 속리산 경관을 활용한 친환경 생태환경으로 삼가저수지 둘레길 개발이라든가 문화콘텐츠를 이용한 자전거도로 개발, 동학 지 등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을 가미한 학습 활용의 장으로의 개발구상이 필요하다.”며 “지역의 특색을 활용한 독자적인 구상이 가장 지역을 강하게 하는 발전 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천성남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