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윗날’의 뒤안길
상태바
‘한가윗날’의 뒤안길
  • 최동철
  • 승인 2016.09.08 1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60>
제일 큰 명절인 ‘한가윗날’이 이레 앞으로 다가왔다. ‘추석’ ‘중추절’ ‘한가위’로도 불린다. 수많은 성묘객과 귀성인파의 이동 등을 감안해 3일간이 법정 휴일이다. 거기에 토·일요일마저 포함되니 도합 닷새의 황금연휴 기간이기도하다.

삼십 여 년 정도만 거슬러 당시를 회고해보면 한가윗날의 풍경은 그야말로 정취가 있는 명절이었다. 점잖게 한복 차려입은 어른과 색동저고리를 입은 아이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삼삼오오 식솔을 거느리고 일가친척을 방문하여 안부를 주고받았다. 손꼽아 기다린 명절다웠다.

요즘은 스마트 폰, 자동차 등이 수시로 변화 발전하는 시대이듯 명절분위기도 편한 쪽으로 급격히 달라지고 있다. 지난 주말엔 앞당겨 성묘를 마치기 위해 고속도로는 정체를 겪었다. 한가윗날에는 귀성대신 부모가 자식 집으로 가는 상경(上京)이 됐다.

이다지 시대상이 변하니 거추장스런 한복은 입을 필요조차 없어졌다. 차례 상에 오를 음식도 인터넷으로 주문하면 끝이다. 심지어 차례 상 대행업체마저 성업 중이다. 앞당겨 한가윗날을 지낸 이들 대부분은 앞 다퉈 해외로 연휴를 즐기러 나간다. 바뀐 명절풍속이다.

이러다보니 명절 뒤안길에 있는 소외된 이들은 상대적 박탈감에 빠질 수밖에 없다. 명절 전후 고독사, 자살, 가족 간 폭행사건이 많은 것은 이에서 비롯된 때문이다. 특히 노년 부부나 홀로 사는 노인 등 단출 세대가 많은 농촌은 명절 후유증에 휩쓸리기 쉽다.

한 노파의 남편은 몸이 안 좋아 요양원에 있다. 정신은 아직 또렷하지만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다. 헌데 그가 이번 추석은 집에 가서 쇠겠다며 자꾸 졸라댄다. 남편이 잠시 왔다가는 것은 괜찮은데 대 소변처리 등 뒤치다꺼리가 큰 걱정거리다.

지난 설 때는 두 밤을 지낸 적이 있는데 요양원에 안가겠다며 보채고 떼쓰는 남편을 간신히 떼어놓고 집에 와서 한바탕 울었다고 한다. 또, 한 노인은 한가윗날 부인을 집에 잠시 데려오고 싶어도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코 줄’을 하고 있어 병원을 나설 수가 없다고 한다.

한편 한 노년부부는 한가윗날 사업한다는 큰 아들이 내려와 또 투정을 부릴까봐서 걱정이다. 가난했던 탓에 이웃집에 비해 자식교육도 덜했고 사업자금도 넉넉히 대주질 못했다. 섭섭한 아들은 술에 취하면 횡포를 부린다. 이들은 미안해하면서도 한가윗날 아들 오는 게 싫단다.

예년 같으면 지금쯤 남북한 적십자사 관계자들이 한가윗날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계획을 세우느라 분주히 회담을 가질 때다. 허나 50·60년대 냉전체제로 회귀한 현재의 남북 상황에서는 그마저 끝장난 것 같다. 이산가족도 올 한가위에는 뒤안길에 서야만 할 것 같다.

명절이 와서 즐거운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처럼 괴롭거나 고독하거나 씁쓰레한 사람도 있다. 관심을 갖고 이웃 주변을 한번쯤 돌아보자. 송편 등의 작은 베품이나, 배려도 좋고 대화나누기는 더욱 좋다. 어쨌거나 한가윗날 보름달은 밝고 둥글다. 달 보며 원하는 소원도 빌어보자.

<이 사업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