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 케이블카 ‘핑계없는 무덤’ 으로 전락
상태바
속리산 케이블카 ‘핑계없는 무덤’ 으로 전락
  • 박진수 기자
  • 승인 2015.09.03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25일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가 환경부로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이에 양양군은 지난 1일 양양문화복지회관에서 '친환경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를 개최한 반면 전국녹색연합은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심의에 통과는 '50년 역사의 국립공원과 자연공원법 사망 선고일'로 규정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10년전 속리산 케이블카에 대한 논란이 시작되던 시점에 한국언론재단의 지원사업으로 국내.외 케이블카 시설에 대한 운영 및 선진사례를 취재한 바 있다. 당시 설악산 취재한 내용으로는 전국 어떤 자치단체보다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환경단체의 반발에 맞서고 있었다.
취재당시 국내 성공사례로 소개한 한려해상국립공원과 연계된 통영 미륵산케이블카 운영이 주목받았다. 미륵산 케이블카의 경우 설치와 동시에 흔히 대박행진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관광특구 취재차 통영시 관광담당자의 말에 의하면 통영을 관광도시로 만들게 된 계기가 케이블카였으며 케이블카에 이어 동계올림픽에 등장하는 썰매를 타고 산에서 내려오는 ‘루지’ 라는 관광시설을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사례에 비해 외국의 대표적인 사례였던 호주 블루마운틴 케이블카는 관광시설이 아닌 환경보호시설로 설치했다는 엄청난 시각 차이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은 관광시설이지만 외국의 케이블카는 환경보호를 위해 설치한다는 사실은 분명히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국내 케이블카는 분명 관광편의시설이다. 환경단체가 우려하는 국내 케이블카 설치의 수준은 분명 아직도 환경파괴라는 인식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케이블카 설치를 위해 최고로 무거운 지지대를 감당하는 러시아제 헬기를 동원한다는 공법은 국내에서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환경의식이라는 사실이다.
지금 속리산 케이블카 설치는 현실성보다는 막연한 바람으로 불고 있다. 그동안은 국립공원지역이라는 규제 때문에 좀 더 한발 나가 사찰 소유토지라는 점에서 토지주의 케이블카 설치 의지가 없어 산넘어 산이라고 표현되고 있다. 속리산 법주사지구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주시의 속리산 케이블카 설치 소식에 마음만 급하지 실현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 지고 있다.
속리산 법주사지구의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주민여론은 해결의 실마리는커녕 이제는 설악산에 이어 지리산등 전국 각지에서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한다면 속리산 케이블카의 경제성, 경쟁력마져도 떨어진다는 생각으로 설치 의지마져 떨어 뜨리고 있다.
이러다 보면 속리산케이블카 설치하고자 하는 민자유치마져 어렵다는 사실이다. 결국 관광편의시설에 대한 최소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속리산의 지금 모습이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립공원 지역과는 상관없는 제천시 청풍호에 케이블카 설치가 가시화되고 있다. 충북도내 첫 번째 케이블카 설치가 제천시에서 추진된다는 점만 보더라도 이제 충북 관광의 1번지는 제천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북하면 속리산이라는 명성은 희미한 기억으로 잊혀지고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지만 30년동안 있어야 할 관광편의시설 하나 유치하지 못한 보은군의 현실이 속리산케이블카 무용론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안타깝다.
환경부의 승인이 떨어져도 누가 어떤 자본을 가지고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선점없이 막연히 주민이 요구하니까 원론적인 행정의 반복, 여론에 밀려 마지못한 행정추진은 아니한만 못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제 속리산케이블카 설치는 지역민과 자치단체의 의지에 달려있다. 타당성, 경제성도 중요하겠지만 자치단체와 지역민의 의지에 누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도 나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겠다.
/박진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