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미집행 도시계획 해제에 군과 의회가 적극 나서야
상태바
장기미집행 도시계획 해제에 군과 의회가 적극 나서야
  • 김인호 기자
  • 승인 2014.01.23 08: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로선 보은군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이 계획을 위한 계획으로 그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집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면 자금 조달도 더불어 수반되어야 하지만 예산이 전혀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예산은 신 계획이거나 인구밀집지역에 순위가 밀리고 있다.
군에 따르면 보은군은 도시계획시설 408건 중 장기미집행이 261건(160만㎡)이다. 보은군은 사업비 1563억 원을 들여 2020까지 3단계로 나눠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미집행 261건 중 150억 이상 들어가는 사업만도 10건이다. 장기미집행시설 1단계 10건만도 2013년~2014년까지 사업비 430억원이 든다. 2단계 2015~2017년 93건에 대한 사업비도 551억원. 3단계는 2018년~2020년까지 158건에 사업비 58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해는 단 한 푼의 예산도 반영하지 못했다. 당장 430억이란 큰 비용을 군이 올해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김응선 의원은 “보은군 연간 예산 중 경상경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예산을 다 쏟아 부어야 실현 가능한 계획”이라고 꼬집고 있다. 사실상 실현이 불가능한 계획을 다시 세워 주민들의 사생활과 재산권 행사를 제약하고 있다.
장기간 사업 진척이 안 되는 이유는 예산확보의 어려움이 따르고 공사비가 과하다. 연결도로 미개설이나 주거지역 미형성, 지형적 제약 등이 따르는 지역이기 때문에 힘들다. 사업비가 한해 150억원 정도, 전체 약 1600억 원에 달해 보은군 재정형평상 사실상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게 군의 솔직한 심정이다.
도로가 대다수며 공원도 일부 포함된 장기미집행 시설물들의 결정고시일은 1971년 시작으로 2000년 이전까지 지정한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자동실효가 된 것은 단 한 건도 없다. 통상적으로 지구고시를 하면 가능한 10년 이내 집행하게 돼 있다. 10년이 지나면 재검토, 15년이 지나면 특별관리, 20년 이상 미집행하면 자동실효를 하도록 하고 있음에도 도시계획시설로 한번 지정하면 30~40년이 지나도 해제 없이 존치돼 있다.
군은 자동실효를 시키지 않은 것에 대해 관련 법률 기산일을 들고 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0년부터 적용, 2020년 7월을 실효 예정기간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김응선 의원은 “이전 것이 말소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급적용해야 한다”며 “20년 이상이 된 사업은 자동실효가 되어야 주민에게 더는 민폐를 끼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하지 않은 도시계획시설이라면 과감한 정비가 요구된다. 수 십 년째 진전 없는 도시계획으로 인해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정해지를 하든 결단이 취해져야 한다. 뜬 구름 잡는 도시계획만 세우고 은근슬쩍 넘어가면 불편은 고스란히 주민에게 돌아온다. 다행히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말 지방의회가 해제권고한 시설은 선 시설해제, 후 기본계획 변경이 가능하도록 지침을 개정함에 따라 집행이 불가능하거나 여건 변화 등으로 필요성이 낮아진 시설은 적극 해제해 주민의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김인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