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의회는 “우박피해, 태풍 등 계속되는 자연재해로 인해 군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며 “군민들과 고통을 함께하고자 내년도 의정비를 동결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보은군의회는 5년 째 의정비 동결을 실천한 의회로, 충주시의회, 제천시의회와 나란히 내년 의정비를 동결한 의회 상을 기록하게 됐다.
이에 반해, 충북도의회는 내년 의정비를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충북도의회를 구성하고 있는 전업 도 의원이 60%로 “의정활동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정비가 현실화돼야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충북도의회는 지난해 말 의정비 인상을 확정하고도 막판에 비판여론을 의식해 포기한 예가 있다.
전업 도의원이란 영리활동을 하지 않고 의정활동비와 월정수당만을 받아 생활하는 의원을 말한다.
도의회는 직업란에 세무사(임헌경)·농업(김도경)·축산업(정헌)·사업(최병윤)·상업(강현삼)·건설서비스업(박문희) 등 특정한 직업명을 쓰지 않고 '정당인'으로만 표기한 의원 21명을 일단 전업도의원으로 본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도의원 35명 가운데 장선배·노광기·김양희·박종성·최미애(정책복지위원회), 심기보·김형근·임현·정지숙(행정문화위원회), 황규철·권기수·유완백·윤성옥(산업경제위원회), 이광진·김영주(건설소방위원회), 박상필·이광희·장병학·전응천·최진섭·하재성(교육위원회) 등 21명이 전업 도의원으로 분류된다.
대표 직업만으로 보면 도의원의 60%가 전업도의원이지만 공직자 재산 신고액이 10억 원에 육박하는 몇몇 의원과 매달 수백만 원의 연금을 받는 공무원 출신 교육위원까지 포함하면 다소 무리가 있다는 여론이다.
때문에 전업 도의원이 많아서 의정비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
도의회는 12, 13일 이틀간 충남 보령 한화콘도에서 의원연찬회를 통해 의정비 인상여부를 토의한다.
/천성남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