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원 철회에서 교훈을 얻다
상태바
호국원 철회에서 교훈을 얻다
  • 김인호 기자
  • 승인 2012.06.21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4월 보훈처의 중부권 호국원 보은 선정 후 요란했던 호국원 유치가 마침내 철회됐다. 국가보훈처가 공원묘지조성사업 등 6개 사업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표명함에 따라 보은군이 사업 철회를 보훈처에 통보했다. 그러자 보훈처도 지난달 27일 괴산군을 호국원 후보지로 확정했다는 통보를 괴산군에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늦은 얘기지만 혹자는 “분열과 불신, 그리고 갈등으로 대립했던 군민들은 이제 삿대질 대신 화합의 축배를 들게 됐다. 승자와 패자가 누구인지 굳이 따져 볼 필요는 없다. 모두 현명했고 누구나 승자가 됐다. 보은군민 만세다”라며 “정상혁 군수의 지혜로운 용단”이라고 찬사를 쏟아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국책사업 철회가 박장대소할 일인지는 솔직히 모르겠다. 철회 소식이 전해지자 출향인사 등으로부터 안타깝다는 얘기는 들었다. 공감할 수 있는 논리라고 여겨진다. 지난 총선에서 호국원 유치가 공약으로 채택된 나름의 명분도 있었을 테고 국책사업 철회로 이미지 또한 좋지 만은 않을 텐데. 아무튼 지역입장에선 갈라진 민심으로 인해 더 이상 다툴 일이 없어졌으니 잘된 일로 평가하고 싶다.
우연하게도 1991년 3월 2일자 보은신문에 실린 ‘보은군내 공원묘지 마련 시급’이란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신문은 “군내 공동묘지의 면적 감소화 대비와 산림훼손 방지 등을 위해 공원묘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군내 산재한 공동묘지는 96개소로 면적 102만 4757㎡인데 해마다 묘를 쓰는 이들이 증가 현재 37만2537㎡만 잔여 묘지분으로 남아 있다. 더욱이 외속리면 공동묘지는 1만9339㎡ 중 잔여면적이 498㎡로 바위가 많아 그나마 묘를 설치할 수 없는 실정이다”고 당시 실정을 전했다. 지금부터 21년 전의 일이다. 이런 사정을 반영해 지난 민선 1,2기 김종철 군수시절 탄부면 상장리에 약16만㎡의 부지를 국토이용계획 변경으로 공원묘지 부지를 마련했지만 지금의 골프장이 됐다고 한다. 결국 현 군수를 포함 두 명의 민선군수가 공원묘지 조성을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묘지의 난립을 막고 보은군의 효율적인 국토관리와 또 묘자리가 없어, 관리자가 없어 속 끓는 주민과 지역입장에서 공원묘지 조성은 검토해볼 여지가 있다.
보은군은 호국원이 들어서면 조성예산이 최대 1200억원으로 일감이 생기고 지역경제 발전에 견인차가 된다고 판단했다. 또 호국영령 5만기가 안장될 경우 참배유족이 연간 80만명 또는 120만명이 보은을 방문해 연간 수십억원의 지역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약 2만기가 안치된 경기도 이천은 지난해 50만명이, 경북 영천은 60만명이 다녀갔다. 전북 임실은 39만명이 다녀갔다는 통계를 내놓았다. 1기당으로 계산하면 22~25명의 내방객이 다녀간 셈이다. 이 평균치를 5만기에 적용한다면 연간 110~125만명이 호국원을 방문하는 셈이다. 속리산 입장객과 전국대회 하나를 유치해도 적지 않은 유치비를 지급하는 게 현실임을 감안하면 대단한 수치다. 방문객이 몰린다면 지역여건 상 어느 정도 이들을 흡수 할 수 있을 것으로도 보이는데 테마와 풍경이 있는 속리산과 법주사, 말티재 등에 얼마마한 인원이 다녀갈 것이라는 데 군은 대답을 못내고 공감대 형성에도 실패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큰 사업을 벌이기 전 공론조성을 하지 않으면 명분과 당위성이 아무리 부여되더라도 분열과 혼란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는 교훈을 일깨워준 사례였다.
/김인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