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자 보은군도 기자회견을 통해 그간의 경위와 입장을 밝히고 주민들의 양해를 구했다. 실시협약 체결 전 각계각층의 여론을 청취한 후 국가보훈처에 보은군의 종합의견을 전달하겠다는 메시지다. 쉽게 보은군이 호국원 부지로 선정되었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시협약체결 전까지 시간을 갖고 지역에 보탬이 되게끔 고민해보자는 얘기다. 도움이 안 된다면 호국원 유치를 보이콧할 수 있다는 내용이기도 하다.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대략 이렇다. 호국원 조성 부지에 농토가 많아 먹고 살길이 없다는 것이다. 또 화장장이 들어설 수 있고 지가하락과 이미지 훼손도 우려하고 있다. 주민들의 동의를 구해지 않은 점도 반발하는 명분이다.
정상혁 군수는 주민설명회와 관련해 ‘생각의 차이’라고 했다. 보은군 단독사업이 아닌 대형 국책사업을 결정도 되기 전 사전 주민설명회를 하는 것은 장점보다 단점이 많기 때문에 주민설명회를 하지 않은 것이란 항변이다. 어떤 사안을 의도적으로 은폐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보은군이 논란에 휩싸인다면 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 하에 유리한 여건에서 유치하려는 의도된 전략이었다는 해명이다.
결과적으로 정 군수의 전략은 어쨌든 맞아 떨어진 셈이다. 그이 말처럼 괴산군과의 경쟁에서 보은이 당첨됐고 앞으로 있을 협약체결에서 플러스알파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발을 빼면 그만일 수 있다. 하지만 정 군수가 보훈처에 제시할 내용정도로 주민들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을지, 계속해 계산이 먹힐지는 미지수지만 일단 전략에 의미는 있었다는 생각이다.
앞서 우리는 안팎의 시각이 확연할 수 있는 호국원 유치란 큰 사안을 놓고 주민들의 소리를 듣지 않은 채 밀어붙이는 것은 동기를 떠나 정도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호국원은 밖에서 보면 잘 가꿔진 공원일 수 있고 반대로 언짢은 시설물일 수도 있다. 지역경제에 활력도 될 수 있다. 문제는 해당주민들이 이를 수긍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사전 공론조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주민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한 행정이나 정치력은 설득력과 추진력이 떨어지고 분열과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정답보다는 과정을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더 중시되어야 하는 게 정치의 본질이기도 하다. 추후 열린 상담, 열린 토론이 지역에 정착되었으면 한다.
/김인호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