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방침이 알려지자 삼승면 주민들은 “충북도가 농민을 상대로 사기를 쳤다”며 발끈했다. 주민들은 삼승면사무소에 산업단지 피해접수센터를 설치해 주민 피해내역 조사에 들어간데 이어 13일 지난 지방선거에서 이시종 지사가 후보지절 내건 ‘첨단산업단지 이시종이 해결하겠습니다’란 현수막을 들고 충북도를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이미 조사를 마치고 조성 약속을 해놓은 상태서 다시 타당서 조사를 하겠다는 것은 안하겠다는 뜻 아니냐”며 “빚 얻어 대토니 묘지이장도 다 해놓았는데 보상을 안 해주니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이자 때문에 자살이라고 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격앙했다. 이모(60)씨의 경우는 보상일정에 맞춰 3억원을 빌려 다른 곳에 축사를 신축했지만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바람에 빚만 떠안게 됐다. 이씨는 “대토를 해놓고 보상금을 못 받아 빚더미에 오른 농민이 한둘이 아니다”며 “산업단지 주변의 다른 땅까지 모두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첨단산업단지는 2005년 낙후된 남부3군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남부 3군을 대상으로 한 충북도 공모에서 선정된 것이다. 이후 도는 도의 균형발전을 위해 2006년 3월 충북도의회에서 농업기술원과 가축위생연구소 등 2개 기관의 보은군 이전도 약속했다. 하지만 정우택 전 지사가 도청 산하 2개 기관의 보은이전을 취소하고 ‘바이오농산업단지’를 ‘보은첨단일반산업단지’로 명칭 변경과 함께 2008년 9월 64만평, 2009년 5월 다시 45만평으로 거듭 축소한 후, 2009년 12월 충청북도지사(갑), 보은군수(을), 충북개발공사(병)으로 하는 협약을 체결했지만 민선 5기 들어 사실상 중단됐다.
주민들의 속은 타들어가다 못해 시커멓게 멍이 들었다. 특히 해당 지역의 농민들은 수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아왔다. 영농자금 지원 혜택에도 불이익을 받는 등 푸대접을 받으면서도 내색하지 않고 참아왔다. 이 일대 농민들은 묘 이장과 조상대대로 이어온 삶의 터전 이전을 준비하면서 빛도 얻었다. 강력한 성장동력이 될 산단조성으로 활기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던 보은군 전체 주민들도 참담하긴 마찬가지다. 극도의 배신감마저 느끼고 있다.
전후과정을 떠나 이시종 지사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산단조성 공약을 이행하겠노”라고 호소하고 표를 얻었다. 첨단산단은 등불이고 도약의 기회로 절대 놓을 수 없는 사업이다. 상황에 따라 말 바꾸기가 능숙한 정치인들이라지만 가뜩이나 홀대지역으로 소외감을 느끼는 지역민과 농민들에게 더 이상 실망이나 눈물을 흘리게 해선 안 된다. 행정의 신뢰를 위해서라도 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신속히 이행할 의무가 있으며 이는 표를 달라고 호소한 사람이 응당 해야 할 도리기도 하다. 더욱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역으로 충청권이 선정되기 위해선 먼저 약속이행부터 솔선수범한 후 요구함이 당연하다. 내 지역은 팽개치고 정부와 대통령에게 공약이행을 주창한다면 소도 웃을 일이다. 군민에게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정치인은 자격이 없다. ‘신발전지역’으로 집어넣든, 과학벨트 입지 후보지로하든 어떤 식으로든 충북도의 첨단산단 조성약속은 이행되어야 한다. 조속한 시일 내 이행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
/김인호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