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농촌 소규모 학교엔 이주민 자녀들의 수가 지역 토박이 학생수와 엇비슷할 정도로 이주민들이 넓게 분포돼 있다. 갈수록 이주민의 자녀는 늘어날 것이고 하루가 다르게 신생아 수가 급속히 주는 농촌의 현실을 감안하면 앞으로 이주민의 자녀가 원주민의 자녀수를 능가할 날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쯤 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학교에서 간혹 있을 수 있는 소위 왕따 현상이 부메랑으로 돌아와 토박이 자녀가 따돌림을 당하지 말란 법도 있음직해 보인다.
물론 이런 현상이 모두에게 절대 있어선 안 되겠지만 다문화세계로 접어들면서 우리가 예상치 못한 일들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건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일이다. 이런 점에서도 문화적 경제적 차이, 인종차별, 또 자녀 양육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우리 사회 당당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과 교육은 분명 요청된다.
보은군엔 대략 206가정이 다문화가구다. 다른 지역보다도 높은 비율이다. 이들의 한국 적응력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이 이곳저곳에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하지만 각 기관마다 중구난방 식으로 시행되는 프로그램 운영은 오히려 이들에게 일부 혼선을 주고 있다.
다문화주부들이 우후죽순 교육에 참여하다보니 가정불화와 시간낭비, 비효율적으로 사업이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은 깊이 새길 일이다. 더욱이 이 사업이 시행 기관별 내분을 초래할 여지도 안고 있다고 하니 이 기회에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임에 분명하다.
이런 현상은 이 사업을 중재할 조정자가 없다는 점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그렇다면 처방은 의외로 간단하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기능을 대폭 보강해 체계화시키던지 확실한 힘을 센터에 실어주던지 아니면 관련 단체 대표자들이 모여 말 그대로 사업의 중심역을 할 센터를 새로 꾸미든 구성하든 중심 창구를 만들어야 할 일이겠다 싶다. 지금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어찌된 영문인지 위축돼 있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 말로만 센터명칭을 달은 건지 뭔가가 잘못 돌아가는 것 같다.
일부 사업이 보여주기 위한 행사, 선심성 행사란 내부의 지적이 말하듯 다문화사업이 정상궤도를 벗어나기 전에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을 권한다. 이주여성들이 진정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꼭 필요한 사업이 무엇인지 정확한 실태조사 후 사업에 집중해야 다문화가정 사업 본연의 취지가 살지 않겠는가.
/김인호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