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인구라도 지켜야 여론
상태바
현재의 인구라도 지켜야 여론
  • 송진선
  • 승인 2001.03.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치단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바로 인구다. 보은군의 인구는 2000년도말 현재 4만3245명으로 매년 1000여명 이상이 순 감소하고 있어 이대로 가다간 4만명선도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이러다간 단독 자치단체로서의 유지도 어렵지 않겠느냐는 비관론까지 비등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출퇴근 하는 공무원, 출퇴근 하는 직장인만 있었는데 지금은 출퇴근 하는 공무원, 직장인 뿐만 아니라 출퇴근 하는 상인, 출퇴근 하는 농민까지도 생겨났다.

지역에 남아있는 주민들도 생산적이고 건전한 비판보다는 패배의식에 사로잡혀 서로를 불신하고 상대방을 험담하는데 하루 시간을 소비한다. 살기좋은 보은군을 살기 나쁜 지역으로 외지인들에게 잘못 인식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 스스로 우리 무덤을 파는 꼴이다.

못떠나고 있는 사람이 잘못인 것처럼 스스로 생각하게 만드는 상황이다. 이런 마당에 외지에서 출퇴근 하는 공무원을 농민이 나무라겠는가, 상인이 공무원을 나무라겠는가. 결과적으로는 모두가 지역에서 돈을 벌어 외지에서 쓰는데 동참하고 있는 것이다.

급기야 보은군수는 특별지시 1호를 발령하며 전 공무원의 가족까지 지역내로 주민등록을 이전토록 지시했다.

3월9일까지만 해도 전 공무원 552명중 실제 군내에 거주하고 있는 공무원은 412명이고 주민등록만 지역으로 이전하고 외지에서 출퇴근하는 공무원 수는 122명, 주민등록도 이전하지 않고 외지에서 출퇴근하는 공무원은 18명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3월10일까지 대상 공무원들이 가족을 동반 지역내로 이전하고 주민등록 등본까지 제출한 상태다. 지방 행정 공무원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이전한 공무원들의 태반이지만 어쨌든 지역내에서는 공무원들이 솔선을 한다며 좋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같은 사정은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여서 공무원들부터 지역내 전입을 우선 추진, 헌법에서 보장하고있는 거주 이전의 자유와 충돌하는 사례가 많다.

영천군 경실련의 경우 대구 등 다른 지역에 주소를 두고 영천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에 대해 지역발전을 저해한다며 명단 공개를 추진 중에 있다. 영천 경실련 관계자는 “영천인구가 갈수록 주는 만큼 모범을 보여야할 공무원들이 발령받은 근무지로 이사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확인이 끝나면 기관장에게 인사상 불이익을 요구할 것”이라는 것.

이는 전국의 자치단체가 모두 인구 지키기, 인구 늘리기와 한 판 붙은 사례다. 또 다른 사례는 전남 곡성군의 경우 군청내에 전담부서까지 배치해 인구 증가 정책을 추진하고 군수 등 지도층 인사들이 모범을 보이고 애향 장학금 35억원을 조성해 학생들을 지원, 98년 인구 감소추세가 멈춰 2000년도에는 인구가 증가하는 성과를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다행스럽게도 우리지역에서 지금의 인구만이라도 지키고, 남아있는 주민들만이라도 서로 사랑하고 결속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현재 불고 있는 이 바람이 결실을 맺기를 기대해본다.

<그래도 보은을 사랑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