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회남면으로 떼어달라
상태바
차라리 회남면으로 떼어달라
  • 송진선
  • 승인 2001.03.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북면도 생존권 투쟁위원회 만들겠다
대청댐 내 경작을 허가했던 홍수 조절용지에 대한 경작이 올해부터 금지되는 바람에 이곳을 경작하면서 생계를 유지했던 회북면 주민들이 앞으로 살길이 막막하다며 허탈해 하고 있다.

현재 대청댐내 홍수 조절용지는 총 62만평으로 이중 63%가 옥천군이고 보은군내에는 약 6만2000평이 소재, 회북면 죽암2리와 신대리, 용곡1리 주민들이 점용허가를 얻어 그동안 옥수수 등을 재배하며 생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이들 지역은 이미 대청댐 조성시 농경지가 거의 대부분 수몰돼 그나마 경작하고 있던 홍수 조절용지가 이들의 생계를 유지하는데 크게 보탬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 수자원공사 대청댐 관리사무소에서는 2월23일자 안내문을 통해 ‘댐 주변지역 주민들의 생계지원 차원에서 인근 주민들이 단년생 농작물을 경작할 수 있도록 일정기간을 정해 농약과 화학 비료를 쓰지 않는 조건으로 경작허가를 해왔으나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은 물론 농경 폐기물의 방치 등으로 상수원 오염을 가중시키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어 앞으로 전국 다목적 댐내 홍수 조절용지에 대한 일체의 기간 연장이나 신규 허가가 금지되고 앞으로 하천 부지를 인공 습지 등 수질개선을 위해 활용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같은 내용의 안내문을 받은 회북면 수몰지역인 죽암2리, 신대리, 용곡1리 주민들은 “경작으로 인해 오염행위가 가중된다고 하는데 옥수수는 다른 작물과는 달리 농약도 하지 않고 비료도 쓰지 않는 작목”이라며 오염을 부추긴다는 것을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오히려 경작으로 인한 오염보다는 낚시꾼들로 인한 오염이 훨씬 클 것인데 애꿎게 농민들만 볼모로 잡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회북면 신대리 주민들은 “홍수 조절용지를 경작해서도 돈이 안돼 봄에는 홑잎이나 취나물 등을 채취해 파는 등 열심히 살고 있는데 이제는 죽으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앉아서 가만히 당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대청댐 관리사무소에서는 “농민들이 경작하고 있는 홍수 조절용지는 이미 보상이 끝난 하천부지이지만 댐 주변 지역 주민들의 생계 지원 차원에서 점용허가를 해주었는데 오염이 가중, 수질 관리에 어려움이 따라 어쩔 수 없이 경작을 금지하는 방안까지 나왔고 지난해 10월 고시된 대청댐 등 물관리 종합대책 안에도 이같은 내용의 관리안이 있다”며 “앞으로 댐 주변 지역 주민들을 위한 지원사업비가 수몰민에 대한 소득증대 사업에 쓰일 수 있도록 지침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청댐 관리사무소로부터 홍수 조절용지의 점용 허가 연장을 금지하겠다는 안내문을 받은 회북면 주민들은 생존권 사수를 위한 투쟁위원회라도 만들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동안 홍수 조절용지를 경작하면서 생계를 유지했는데 산 목숨을 끊으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분노했다. 회북면 죽암2리, 신대리, 용곡1리의 이장과 개발위원등은 지난 12일 만나 정부에서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데모를 해서라도 생존권을 사수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이들은 대청댐으로 농경지가 대부분 수몰돼 사실상 경작 가능한 농경지는 경사 45도 정도 되는 비탈진 밭이 고작이어서 농기계도 들어가기가 어려워 고령인 주민들이 농사를 짓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득이 높은 작목은 어림도 없어 호당 평균 소득이 연 500만원도 안되는 빈촌으로 전락했다고 탄식했다.

연초에 영농자금 200만원을 대출받지만 한 해 농사를 지어봐도 영농자금 200만원을 갚지 못하는 농가가 허다하다는 것. 그나마 객지에 나가있는 자녀들이 매달 용돈을 보태주어서 한달 한달 생활했는데 IMF로 경기가 침체되니까 그나마 대주던 것도 중단된 처지다.

따라서 홍수 조절용지라도 경작해 생활하던 이들이 홍수 조절용지 경작을 금지하므로써 입는 타격을 체감하는 것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심각하다. 주민들은 수몰 당시 보상을 받았지만 고향이고 또 선대 묘소가 있어 떠나지 못했는데 정말 후회 막급하다며 한숨을 쉬었다.

그러면서 주민들은 회북면 용곡1리, 신대리, 죽암2리는 같은 수몰지역인데도 회남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혜택이 적다는 불만을 쏟아놓았다.

회북면 신대리 주민들은 “세금도 똑같이 내고 똑 같은 수몰민인데도 불구하고 후생사업이나 소득 지원사업에서는 회남면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차라리 회북면이 아닌 회남면으로 행정구역을 떼어달라”는 요구까지 할 정도다. 수몰면적에 따른 사업비 배분이지만 단순하게 지난해와 올해 사업비로만 비교해도 회북면 주민들이 느끼는 소외감이 클 것이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회남면에는 지난해 대청댐 주변 지역 지원사업으로 소득 증대사업 4800만원, 공공시설비 4848만원이 투입됐고 상수도 보호구역 주민 지원사업으로 산수리 농로포장 1억원이 투입됐고 또 올해는 공동 축산, 공동 농기계 구입 등으로 6457만여원이 투입되고 소득증대 사업으로 회남면 법수리 농로포장에 1억원이 투입된다. 회북면에는 대청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으로 지난해 1500만원이 투입된 것이 고작이다.

이를 회북면 주민들은 대응하지 않고 정부에서 하는 대로 그냥 있있기 때문이라고 자책하고는 주민들의 생존권 확보를 위한 강력한 투쟁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3월말로 대부분의 홍수조절 용지 경작이 금지되므로 인해 회북면 죽암2리와 신대리, 용곡1리 주민들의 이에대한 대응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