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공동발전협의회, 시작부터 삐걱
상태바
금강공동발전협의회, 시작부터 삐걱
  • 류영우 기자
  • 승인 2008.06.06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개 자치단체장, 관련 문구 상호 조율 안돼 협약체결장에서 갑론을박
▲ 금강권 댐 유역 공동발전협의회에 뜻을 같이 한 10개 지역 자치단체장들이 약정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금강을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간 첫 협력 사업으로 관심이 모아졌던 금강권 댐유역공동발전협의회가 시작부터 매끄럽지 못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이향래 보은군수를 비롯해 10개 지방자치단체장 및 부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옥천군청 회의실에서 열린 이 날 협의회는 회의 진행 및 내용 문구에서 이의제기가 계속되는 등 사전조율 및 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이 날 협의회는 약정서 체결 전에 협의회 회칙을 논의해 청원군 김재욱 군수한테 지적을 받는 등 시작부터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또, 약정서의 주요 내용이고, 앞으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실무협의회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이견이 노출되는 등 사전조율이 안 된 상태로 진행되었음이 단적으로 드러났다.

청원군수 김재욱 군수는 실무협의회 담당 부서를 환경부서로 하자는 것을 명기하자고 했지만, 대전 동구 박헌오 부구청장이 기획부서로 하자고 의견을 내면서 의견이 좁혀지지 않다가 환경부서를 실무부서로 결정하는 등 회의 내내 경직된 분위기로 진행돼 첫 협의회를 무색케 했다.

이미 협의되어야 할 약정서가 체결 시점에서 문구 등의 문제가 노출되면서 바뀌지 않은 약정서에 미리 사인을 하고, 약정서를 나중에 바꾸기로 하는 등 웃지 못할 촌극이 연출됐다.

더구나 홍성춘 무주 부군수는 약정서에 사인을 하지 않았다.

이는 당초 무주 군수가 참여하기로 예정됐으나 일정때문에 부군수가 참여하면서 군수 사인을 대신할 수 없다고 거부를 한 것.

이 외에도 약정서 내용 중에 동구만 대전광역시동구로 명시하고, 대덕구는 그냥 대덕구로만 표기해 대덕구 측으로부터 “우리는 대전시 표기를 왜 안했느냐?”고 지적을 받기도 했다.

논의끝에 결국 최종 표기는 광역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를 나란히 명기하는 것으로 했다.

첫 협의회에서 회의를 추진한 한용택 군수가 초대 회장으로 추대됐으나 행사를 준비한 옥천군의 준비 미흡으로 체면을 구기고 말았다.

금강권 댐유역 공동발전 협의회는 지난 2007년 9월, 금강 상·하류 16개 자치단체에서 실질적 피해지역 자치단체의 대변 역할이 부족하다는 문제 제기 후 ‘금강유역물관리 협의회’ 구성이 제시됐다.

이후 대통령 선거와 총선으로 인해 추진이 보류되다 2008년 4월 10개 자치단체가 협의회 구성에 동의, 6월4일 창립총회를 개최하게 됐다.

'금강권 댐유역 공동발전협의회’는 오는 7월 실무협의회를 구성한 후 규제극복과 공동발전의 기틀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 날 창립총회에는 △보은군 이향래 군수를 비롯해 △청원군 김재욱 군수 △장수군 장재영 군수 △대전시 동구 박헌오 부구청장 △대전시 대덕구 장동만 부구청장 △진안군 전광상 부군수 △영동군 안중기 부군수 △금산군 황장순 부군수 △무주군 홍성춘 부군수 등 9명의 지방자치단체장이 참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