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회, 좀 대차게 나가라
상태바
군의회, 좀 대차게 나가라
  • 송진선 기자
  • 승인 2008.06.06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 나라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들끓고 있다. 공부를 해야할 청소년들과 어린 자녀들의 미래가 걱정되는 엄마들까지도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서고 있다.

우리지역에서도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숫자상으로는 200명 남짓 하지만 자기의견을 드러내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자기의견을 공개하지 않는 우리지역 주민 성향으로 봐서는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해, 정부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 거침없이 쓴 소리를 쏟아냈다. 살아있는 군민 행동들을 볼 수 있는 현장이었다.

이런 군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참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한우특화사업을 하고, 한우가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우리 지역인데 주민의 대표라고 하는 군의원들은 왜 이에대해 한마디 의견조차 없을까.

한우사육농가들은 정부청사 앞에서 대대적인 시위를 하면서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릴 높였다. 삭발까지 감행했다. 모형 미국소 화형식까지 가졌다.

앞날이 캄캄한 한우 농가들은 최후의 발악(?)을 했다.

여기에 정부가 군민들을 보호하지 않고 정치권에서 정부를 제어하지 못하니까 군민들은 우리 건강을 우리가 지킨다며 총알받이로 거리로 나갔다.

하지만 군민들의 대표라고 자처하는 군의회는 정작 입장이 없다. 팔짱을 낀 채 불구경하는 형국이다. 매우 방관자적인 모습인 것이다.

전남도의회는 2일 쇠고기 장관 고시 무효 및 재협상 촉구 상경 투쟁 출정식을 갖고 삭발까지 감행했다.

전주시의회 의원들은 4일부터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협상과 전북 혁신도시 원안대로 추진’을 촉구하는 천막시위에 들어간다.

이뿐만이 아니다. 충남 시·군의장협의회는 2일 천안시청 브리핑 실에서 새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의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채택했다.

시·군의회 대표들은 공동성명에서 지역 간 갈등 조장과 불균형을 증폭시키는 새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지속적인 균형발전 정책을 당초의 원칙과 계획대로 조속히 추진하라고 주장했다.

이렇게 우리지역이 방관하고 있는 시각에도 각자 처한 지역의 입장을 대변하는 의원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성명서 채택으로, 천막 농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지역은 누가 뭐래도 농업군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한우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당도가 높아 서울 양재동에서도 알아준다고 하는 사과, 조선시대 임금님에게 진상했다며 한창 자랑하고 있는 대추도 있지만 매출규모 등에서는 한우를 따라갈 수가 없다.

전문 한우 사육농가도 있지만 대부분 논농사, 밭농사를 지으면서 한우를 사육하는 복합영농 형태다.

한우 산업이 위기에 처하면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에 영향이 올 수 있고 그러면 지역경제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입쇠고기 문제로 전국이 어수선한데 주민의 대표라고 입버릇처럼 이야기하는 군 의원들이 수입쇠고기 문제에 대해 한 마디 말도 없다. 과연 주민의 대표라고 얘기 할 수 있을지.

왜 미국산 수입 쇠고기 재협상을 주장하는 성명서를 내지 못할까.

국민들이 물대포를 맞아가며, 소화기의 분말가루를 뒤집어쓰고 군화에 짓밟히면서도 포기하지 않아 장관 고시연기, 재협상을 이끌어내고 있는 지금 침묵하고 방관하고 있는 군의원들은 어떤 변명을 늘어놓을까.

다른 지역에서 이미 다 하고 난 다음 막차에 오르며 보은군의회 이름만 쓰는 보신주의 의정활동을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좀더 대차게 나가고 주도하는 의정활동을 기대한다.

그리고 한마디 덧붙인다면 군수, 교육장, 경찰서장 등 지역내 기관단체장이 촛불 집회에 참석해 주민과 함께 사회정의를 외치면 안될까.

부와 권력을 쥔 사람들, 여론주도층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먼저 나서서 사회 정의를 외치면 안될까. 어째서 대부분의 가진 자들은 사회 정의의 반대편에 서 있는 느낌이 드는 것일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