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조직 개편 공직사회 ‘술렁’
상태바
행정조직 개편 공직사회 ‘술렁’
  • 송진선 기자
  • 승인 2008.05.02 1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장급 축소, 읍면동 통폐합 등 각종 구조조정 관련 설 ‘분분’

정부의 지방행정조직 개편 작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구조조정 폭을 두고 공직사회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미 중앙부처를 정 조준해 1차 개편을 강도높게 단행하고 2차로 산하기관을 포함한 지방행정 조직을 겨냥해 대국(大局)·대과(大課) 원칙에 따라 과의 최소인원 기준을 20명에 맞춘다거나 과소 읍면동의 통폐합, 지자체 과장급은 3분의 1로 축소하고 사업소 등 일부 기능의 민간위탁 및 법인화, 한시기구 시한 연장 불허 등의 내용이 흘러나오면서 공직사회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과의 평균 인원은 20명이 넘거나 이에 미치지 못하는 등 과별 인원은 제각각이다. 과별 인원을 20명 기준에 맞출 경우 본청만 해도 상당수의 공무원을 구조조정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여기에 일부 기구는 공사화나 민간위탁 등 아웃소싱도 이뤄질 것이란 소식이다.

4월25일 조직개편 지침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진 전국 16개 시·도 기획관리실장 회의가 취소되는 등 아직 지방조직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조정 계획이 지자체에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조정의 폭 등은 미지수이지만 중앙부처에 이은 지방조직 개편작업이 예견되기 때문에 보은군 행정조직 개편에 따른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보은군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이명박 정부의 행정조직 인력 감축에 대비해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조직진단을 실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미 2007년 총액인건비제 시행에 따라 지방조직 구조 개선이 요구돼 외부 전문 기관을 통한 조직을 진단할 예정이었으나 해당 부서에서 공무원들의 의견을 들어 부서(계) 조정, 과명칭 변경, 인원의 재배치 등의 개편작업에 그친 바 있다.

현재 보은군 행정조직은 본청의 경우 1실 1단 11과와 2 직속기관, 2 사업소, 11 읍면을 두고 있다.

보은군 공무원 총 정원은 621명으로 군수인 정무직 1명, 일반직 493명, 지도직 26명, 별정직 15명, 기능직 86명으로 직급별 정원은 부군수를 포함해 4급 서기관 3명, 5급 사무관 26명, 6급 주사 121명, 7e급 주사보 152명, 8급 서기 120명, 9급 서기보 70명, 지도직 26명, 별정직 15명, 기능직 86명으로 돼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