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조리 원산지는 보은
상태바
복조리 원산지는 보은
  • 보은신문
  • 승인 2008.01.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은수 시인(탄부 장암 출신)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 설날이 시작되면 어둠속 골목을 돌아다니면서 복조리 파는 장수들의 “복조리 사려∼ 복조리사려∼”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 설날에 마련한 조리여서 각별히 '복(福)'자가 붙어 복조리라 한다.

조리는 도정이 잘 안된 곡식에서 돌과 나쁜 이물질을 거르고 이는 도구로서 돌을 거를 때 소복소복 올라오는 곡식 모양처럼 복이 들어온다는 소박한 소망이 담긴 뜻으로 풀이된다. 복조리는 있던 것을 쓰지 않고 복조리 장수에게 산 것을 걸었는데 일찍 살수록 길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섣달그믐 자정이 지나면 복조리 장수들이 “복조리 사려”를 외치며 인가 골목을 돌아다니고, 주부들은 다투어 복조리를 사는 진풍경은 벌써 옛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일 년 동안 사용할 수량만큼 조리를 사서 실이나 성냥 엿 등을 담아 문 위나 벽 등에 걸어두는데, 이는 장수와 재복을 바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조리는 쌀을 이는 도구이기 때문에 한 해의 복이 쌀알처럼 일어나라는 의미와 함께 농경민족의 주된 곡식인 쌀을 다루는 도구로서 더욱 중시된 것으로 여겨진다.

조상들은 새해 첫 새벽 대들보나 부엌문 앞에 복조리를 거는 풍속은 쌀을 일 듯 복을 인다는 상징성과, 조리의 무수한 눈이 나쁜 기운을 감시한다고 한다. 돌을 골라내 오복(五福)의 하나인 치아를 보호한다는 실용적 의미 등이 녹아 있다고 한다. 그래서 복조리는 값도 안 깎았고, 아무 집 마당에나 던져두고 나중에 조리 값을 받으러 가도 싫은 소리를 듣는 예가 드물었다.

요즘은 쌀이 천대받으면서, 또 쌀 속에서 돌을 전혀 찾아볼 수 없게 되자, 조리의 사용이 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복조리 풍속도 점차 자취를 감추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옛날 조상들은 복조리를 사서 방이나 대청 한쪽 벽에 걸어 놓고 하나씩 계속 사용하면 한 해 동안 내내 복이 들어오게 된다는 민간신앙이 싹을 티운다.

특히 전라도와 경상도 지방의 산촌이나 농촌에서는 설날에 복조리와 더불어 갈퀴를 사놓는 풍습이 있었다. 쌀을 이는 조리와 어떤 물건들을 긁어모으는 갈퀴가 다 같이 생활에 필요한 기구이면서, 서로 한 해 동안의 복을 일거나 긁어 들여 취하는 일을 담당한다는 민간신앙으로 정착되게 된 것이라 한다.

복조리의 원산지가 충북 보은이었다는 것을 신문 보도를 보고 알았다. 충남의 서산, 강원도의 원주, 전남의 담양 등 그밖에 다른 곳들에서도 만들어 졌는데, 이곳 사람들은 겨우내 부업으로 만든 복조리를 온 식구가 등에 걸머지고 전국 각지로 흩어져 돌아다니면서 팔았다고 한다.

이 밖에도 설날에 복을 비는 민간신앙에서 비롯된 세시풍속들이 많았다. 갑옷을 입은 장군이나 역귀와 마귀를 쫓는 신의 형상, 삼재를 세 마리의 매를 그림으로 그려 붙이기도 했다. 이것들은 재액을 물리쳐 한해 복되게 살려는 인간의 간절한 기복행위의 한 행태였던 것이다. 이러한 설날의 전통적 기복 세시풍속이 자취를 감춘 지 이미 오래되었지만, 그 기복행위들 가운데 그런대로 명맥을 유지해 온 것은 복조리였다. 최근 서울 지하철에서 국적불명의 변용된 복조리와 버선등 상품들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새해 첫 출발을 알리는 복조리장수 외침소리는 다시 듣지 못하게 되는 걸까. 그마저도 옛날이야기가 되는 모양이다. 허지만 복조리라도 집안에 걸어 난마(亂麻)와 같은 세태를 벗어나는 새해가 되어 달라고 빌어 보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