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은 유권자의 몫
상태바
지역발전은 유권자의 몫
  • 송진선
  • 승인 2006.04.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31지방선거일이 다가오면서 지역정가도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유권자들은 이번 선거를 통해 지방분권과 혁신시대에 걸맞은 지방자치시대가 착근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과거의 밀실·야합정치가 사라지고, 정치개혁 또한 이뤄질 것인가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그 이상의 기대에 한껏 부풀고 있다.

선거법 강화와 유권자 의식 제고 등으로 예전처럼 흑색비방과 지역감정에 호소, 유권자들을 편가르기 논쟁으로 밀어 넣는 선거풍토가 사라지길 바라고 있다.

그러나 공천을 따내야 하는 입장의 일부 입후보예정자 및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흑색비방이 오가면서, 정책대결이 아닌 ‘마타도어 식’ 선거전으로 변질될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돈 선거 및 장밋빛 공약, 빌 공(空)자 공약(空約)이 아닌 정책대결을 통한 새로운 정치문화를 이뤄보자는 마당에 후보자간의 ‘이전투구’ 양상도 보인다.

여기에 공천제가 도입되고 지역이 합쳐지면서, 소지역주의까지 활개를 치고 있다. 유권자들도 후보의 면면을 살피는 것이 아니라 지역을 중심으로 뭉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출마 후보들도 유권자들의 이런 심리를 이용해 ‘우리 지역에 의원이 없으면 지역발전을 꾀할 수 없다’ 는 논리를 앞 세워 소지역주의를 이끌고 있다.

정치발전은 유권자들이 만들어 가야 한다. 지역발전을 위한 인물이 아니라, 어줍지 않은 경력에 우선하고, 혈연·학연·지연에 우선해 지역 가르기 투표에 따라서는 안된다.

정치적·행정적으로 경험·경력이 뛰어나다고 해서 반드시 뛰어난 ‘민의의 대변자’가 되지는 않는다.

지역을 위한 성실함과 노력, 지역을 진정으로 아끼는 애향심이 강한 사람이어야 한다.

소신과 철학을 가지고 지역 주민들의 눈물을 닦아 줄 양식 있는 지역 일꾼은 유권자가 찾아야 한다. 유권자가 현명해야 정치 선진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선거풍토를 보면 절대 축제의 장이 되지 못하고 있다. 선거는 갈등과 대립이 아니라 잔치다.

5·31 지방선거는 잔칫날이 되었으면 한다. 이력서에 경력하나 올리고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지역을 위한 유능한 일꾼을 선출해 후보자나 주민 모두가 즐거워하는 우리지역의 잔치가 되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