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남면 생존권 투쟁위원회, 생존권 보장위해 각계 탄원
회남면 생존권 투쟁위원회(위원장 이호종)가 생존권 보장을 위해 도지사와의 면담을 추진하고 도의회, 군의회 등에 청원 준비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미 지난 14일자로 투쟁위원회는 군수, 도지사, 환경부 등에 대청댐 수몰 이후 자연환경 보존지역, 상수도 보호구역, 특별대책 Ⅰ권역 지역, 수변구역 등 각종 규제에 묶여 생존권의 박탈은 물론 재산권 행사마저도 주민들의 뜻대로 행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탄원하는 진정서를 보냈다. 이들은 진정서에서 회남면과 같이 대전시나, 청원군이나, 옥천군이 대청댐 구역으로 묶여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에 비해 회남지역에 대한 지원이 형편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대전 광역시의 경우 대덕구와 동구를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해 150억원을 투입, 완벽한 정화시설은 물론 대규모의 장학사업을 펼치고 있고 2002년까지는 60억∼70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자료를 제시했다.
또 청원군 문의면의 경우 민속마을을 지정 운영하고 근린 체육공원을 설치했을 뿐만 아니라 농민들에 대한 지원도 전폭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옥천군도 마찬가지라는 것. 반면 회남면은 98년부터 지원된 것은 1억2800만원, 장학사업은 1억5000만원에 그치고 환경 기초시설은 한 군데도 없다며 대청호가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환경 정비 구역에 대한 설명 △대청댐 지원 사업 중 대전광역시와 충북 청원군 문의면, 충북 옥천군, 보은 회남지역을 편중, 지원하게 된 동기와 이유 △대청댐과 관련 정부단체와 산하기관 및 단체에서 대전광역시에 대한 지원이 많았던 반면 충북 보은 지역엔 전혀 없었는데 정부단체 산하기관 및 단체의 주소와 법적인 지원 사업 절차 △회남면의 경우 타 곳에 비해 환경 기초시설을 한 군데도 설치하지 않은 이유와 도나 군에서 맑은 물을 만들기 위한 주민 지원사업 부분 등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회남면 생존권 투쟁위원회는 이에 대한 답변과 도지사 등과 간담회 결과 등을 가지고 주민들의 생활에 어려움이 없도록 각종 지원사업을 요구하는 등 단체 행동을 지속적으로 벌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