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건강보다 경영수익이 우선
군내 보건기관에서 주로 저가 의약품을 사용, 주민들의 건강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주민들에 따르면 보건지소에서 제조한 당뇨병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어 보건지소에 문의해 보니 좋은 약이 있지만 보건소가 계약한 회사에는 그런 약이 없다는 말만 들었다는 것이다. 이에 보건소 관계자는 “과거에는 공중보건의들이 원하는 의약품들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지역에서 제약회사와 결탁한 몇몇 공중보건의들이 적발되어 형사처벌을 받았고, 청주의료원에서 성분별 단가입찰로 의약품을 구입한 결과 40%의 예산 절감을 가져와 보건소에서도 이러한 차원에서 보건소, 지소, 진료소에서 1년간 사용할 의약품을 성분별 및 수량을 접수받아 입찰을 실시하여 70%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는 99년 11월부터 의약품 실거래제로 의료보험약가 기준액표에 의료보험 수가의 의약품 가격이 저하됐고 분기마다 거래가격을 조사, 약가 기준액을 조정하기 때문에 절감효가 크지 않다는 것. 또 제약회사에서 의약품 가격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격을 낮춰 입찰했던 의약품들을 제때 공급하지 않아 오히려 의약품의 수급이 어려워지는 부작용이 생겼을 뿐만 아니라 올해 실시한 성분별 단가 경쟁입찰에서 낙찰 가격이 현저히 높아져 실질적인 예산 절감의 효과는 적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병리학 교수들에 따르면 성분이 같다고 효능이 같은 것은 아니고, 증상에 따라서는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동종 의약품의 절대적 신뢰는 금물이라고 말했다. 현재 보은군내 공중보건의들은 일반의 5명, 전문의 4명, 치과의 5명, 인턴 2명, 한의사 1명으로 구성, 정해진 동종 성분의 의약품을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에 주민들은 보건소에서 양질의 고가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예산 절감을 이유로 저가 의약품을 주로 사용하는 것은 의료 혜택이 미비한 각 읍면의 어려운 현실을 무시한 처사라며 울분을 터트리고 있다. 인근 옥천군 보건소의 경우 보건소장, 진료협의회, 공중보건의들로 구성된 의약품 심의위원회에서 품목을 선정하여 수의계약에 의해 모든 의약품을 구입, 경영수익보다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보은지역과 크게 비교된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