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고 졸업생 농사 짓지 않아
상태바
농고 졸업생 농사 짓지 않아
  • 송진선
  • 승인 1994.12.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립기반 없어 회사 취업 대부분
농촌 후계인력 육성 정책이 농고생에게도 확대 농고 졸업 예정자들에게 집중 투자돼 학생들이 농촌에서 전공분야를 살릴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취업 시즌을 맞아 군내 농고 졸업 예정 학생들은 이미 관련 전공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로의 진출이 두드러져 UR타결 이후 농촌의 우수 정예 인력확보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

농공고 취업담당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농공고의 농과계인 자영농과와 축산과, 원예과의 졸업예정 학생들은 이미 취업을 완료했는데 현황을 보면 조경분야 일부, 농원 2명, 농기계수리점 1명일 뿐 나머지는 모두 식품제조회사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농과와 축산과의 학생들도 농사를 경험하거나 가축사육 기술 등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이들도 예외없이 식품제조 등과 같은 회사에 취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에 대해 학교에서 꼽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은 농업을 사양산업으로 간주해 학생들이 종사하기를 꺼리고 있고, 그 다음은 학생들이 영농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조성 및 정착기반을 닦기 위한 자금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취업을 우선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실제로 농업의 전반분야를 학기 중에 배우고 있는 자영농과의 경우 당초에는 영농후계인력을 키우기 위해 졸업 후 영농정착의지를 갖고 있으며 지도소장의 추천을 받아 입학시켜 수업료는 물론 영농장학금과 숙식까지 제공해서 선발하고 있으나 농업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는 학생들의 지원이 크게 감소해 정원미달 사태를 보이자 당초의 조건이 완화돼 이제는 학교장의 추천만으로도 입학이 가능하며 농사를 지어야한다는 의무사항도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일반 실업고생들과 같이 제조업분야의 취업도 가능하게 돼 당초의 설립 목적이 무효화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자영농과 학생들뿐만 아니라 농업계 학생드로 졸업 후 타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막고 농촌에 조기정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재학중이라도 학생들을 과감하게 영농후계자로 지정해 자금을 지원 영농기반을 닦아 농촌후계인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재일 농공고 교장은 "농촌이 살기 위해서는 농고가 우선 살아 학생들에게 영농 정착 희망을 길러줘야 한다"며 "농과계 교장협의회에서는 재학중인 학생이더라도 농민후계자가 되어야겠다는 학생이 있으면 후계자로 지정 자금지원을 과감하게 실행 농업기반을 조성하게 해야한다는 건의를 정부에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