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부산물 파쇄지원 사업 추진
상태바
영농부산물 파쇄지원 사업 추진
  • 김인호 기자
  • 승인 2024.11.28 0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기술센터와 읍면에서 예약받아 파쇄 진행

“영농부산물 태우지 말고 파쇄지원단에게 맡기세요.”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조은희)이 미세먼지 발생 방지를 위한 ‘영농부산물 파쇄 처리 지원사업’을 11~12월에 도내 11개 시·군을 대상으로 추진한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도와 시군농업기술센터 핵심사업으로 처음 실시되는 영농부산물 파쇄지원 사업은 농업인을 대상으로 영농부산물 파쇄단을 지원한다. 파쇄단 지원은 농촌의 부족한 일손을 돕고, 영농부산물의 퇴비 자원화를 위해 산림 연접지(100m) 이내와 산림 연접지를 포함한 전체 농경지에 지원되며 도내 927㏊의 과수원, 논, 밭 등 농지에 사업비 11.56억 원이 투입된다.
농기원은 농업인이 영농부산물을 불법 소각하다 적발될 경우, 폐기물관리법 위반으로 과태료 50만 원이 부과되고, 농민이 위법 행위에 연루되면 농업농촌 공익직불법에 따라 보조금 감액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도는 법령 숙지가 미흡해 발생하는 농업인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소각 산불 차단을 위해 시군별 영농부산물 안전 처리 지원단을 구성해 운영함으로써 소각 산불 발생이 많은 계절에 집중적으로 홍보함과 함께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을 활용하여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영농부산물 파쇄단은 11개 시군 각 농업기술센터별로 구성되며 내년 농한기인 1~3월에도 농업기술센터와 읍면별로 예약을 받아 파쇄를 진행할 예정이다.
영농부산물 파쇄단이 파쇄하는 부산물은 고춧대, 과수 잔가지 등의 식물잔재로 대형 파쇄기를 통해 분쇄된 부산물은 마을 퇴비로 재활용되며, 영농부산물 파쇄지원을 희망하는 농업인은 해당 지역 시군농업기술센터로 문의하면 영농부산물 안전 처리 지원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관계자는 “영농부산물 처리 지원은 노령화에 따른 파쇄 작업의 어려움도 해결하고 퇴비 활용을 통해 병해충 발생 예방과 자원순환 효과가 있어 계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