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은군이 추진하는 제3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에 대해 해당지역 주민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가운데 보은군 민간단체연합회가 제3산단 조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지난 27일 보은군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반대 주민들과 원만한 협의 조정을 거쳐 추진되길 촉구한다”며 입장을 발표했다.
김민철 민간단체연합회 대표는 ‘보은군의 그릇을 키워나가자’는 주제의 입장문을 통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인구유입, 소비확대 등으로 이어지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필수요건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통틀어 관광지역이건 해양지역이건 내륙지역이건 각 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이 없는 지역은 어디에도 없다”고 운을 뗐다.
그리고는 “우리 마을 옆에는 절대 안 된다고 하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며 그 이유로 “산업단지 자체가 갖고 있는 여러 부정적인 면 때문에 주민들 또한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명품 산업단지라는 보은군의 모델을 모색해보자”고 제안했다.
그는 “지역의 행사 등 문화행사가 가능한 공연무대 설치, 휴게공간과 카페 등 가족이 소풍가는 장소, 인근 도시에서 어린이들이 소풍 오는 명소로 만든다면 ‘사람과 자연과 산업이 조화로운 산업단지’라는 친화적 이미지로 부정적 이미지는 바뀌게 된다”고 언급했다.
김 대표는 또 사직리 주민들의 화학제품 제조업 C20코드 관련 피해 우려에 대해 “법적, 시스템에 따른 점검 등 안전보장 외에 주민들에게 와 닿는 즉 만일의 폭발 위험 등에 대비해 해당 시설을 지하화, 아니면 원전 방호벽 수준 시설로 시공한다든지 하는 설계반영을 통해 주민의 걱정에 대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고 적극 설득에 나설 것”을 군에 촉구했다.
김 대표는 이에 더해 “주민과 산업단지 간 향후 신뢰 환경조성과 구축이 필요하다”며 “소통과 교류를 담보할 수 있는 상생위원회 제도화와 주민들이 혹 사고 시 참여하는 투명한 신뢰 구축 시스템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김 대표는 끝으로 “우리는 과거 호국원, LNG 발전시설 등 유치에 실패한 사례를 경험 삼아 이해당사자 만의 문제로 방관할 것이 아니라 군민의 수준 높은 안목과 역량을 발휘해 이 사업이 좌초되지 않도록 힘을 실어주실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