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은 주민과의 약속이다
상태바
공약은 주민과의 약속이다
  • 박진수 기자
  • 승인 2022.04.21 08: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으로 쉽다. 무엇이 쉬운가 하니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앞다투면서 발굴하는 공약, 10대 공약이니 주민과의 약속이니 하면서 발표되는 공약을 보면 작게는 마을이장의 역할, 더 크게는 대통령에 걸맞는 공약등으로 당선이 되어도 그 결과에 주목하지 않는 내용들이다.
한마디로 구체적이지 못해 그 결과에 대한 약속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다. 결국 해도 안해도 별로 표시가 안나는 공약으로 만 주민을 현혹시키고 있다.
예부터 선거후보자들이 제시하는 공약은 한자로 공(公)자는 숨김없이 드러낸다는 뜻으로 공자는 그 무게가 무거운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약은 어느 순간부터 빌공(空)자로 바뀌어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로 전달되고 있다.
공약이 중요하지 않으면 무엇으로 유권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진정 공약다운 공약이 없어서 인지, 아니면 공약을 제시해도 지켜지지 않는 것을 주민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어서 일까? 언제부터 인지 빈공약이 남발하고 빠지지 않는 약방의 감초인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공약은 후보들 모두의 공약이다.
그만큼 지역경제를 활성화시켜 잘 사는 보은을 만들겠다는 생각이지만 구체적인 방법과 대안이 없다. 주민의 경제활동을 늘려 주머니를 채우는게 아니라 공짜와 무료라는 말로 일하지 않아도 먹고 살게 해주겠다는 사탕발림으로 현혹하고 있다.
후보들의 공약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보은이 가지고 있는 기반과 자원이 충분히 확충내지는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아직도 열악한 보은지역의 기반시설에 대해 지금 불편하지 않다는 이유로 수수방관하고 있고 웬만한 중소도시에는 다 있을법한 주민들의 편의시설이 보은에만 없는 것들이 존재하는한 공약은 주민과의 무거운 약속이 아니라 비어있는 약속으로만 답습된다는 점이다.
농사지을 수 있는 인력도 없는데 최첨단 농업을 육성한다고 하고 떡 줄사람은 생각도 못하고 있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등의 내용으로 발표하고 보겠다는 식이다. 어떤방법이든 우선 당선만되면 모든 공약이 지켜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남발되는 공약은 결코 민심을 돌릴 수 없다는 점이다.
지난 대통령 선거 당시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의 공약은 자신만이 지킬 수 있다는 공약으로 일색이었다. 공약은 한 후보자만의 노력으로 성사되는게 아니다. 국민, 다시말해 유권자를 현혹해서 지지를 얻고자 한다면 분명 빌공(空)자의 공약이 될 것이다.
본래 공약은 가볍지 않은 무겁다는 의미로 후보자만을 위한 공약이 아니라 국민, 주민들과의 공적인 약속이라는 사실에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또하나 후보자들의 공약에 빠지지 않는 것이 기업유치 및 대학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약중 하나다. 한 개의 기업을 유치하면 고용창출을 통한 인구증가에 따른 경제 활성화에 대명사처럼 단골메뉴였다. 하지만 이제 기업유치는 기업 나름이라는 사실이다.
해당기업 시설장비의 자동화로 고용창출의 효과가 없다는 점이다. 또 인력이 없어 인근 청주, 대전으로 출퇴근 버스를 운행해야 하는 기업의 입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멀게만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보은군수, 충북도의회 의원, 보은군의원 후보 모두가 대통령처럼 농업소득도 높이고 지역경제로 살리기 위해 기업유치 및 대학유치를 해보겠다는 공약에 어디에도 무게를 찾아볼 수 없다.
보은군수 후보의 공약인지, 기초의원의 공약인지 구분할 수 없는 공약남발에 주민들은 공약은 지키고자하는 의지가 아니라 형식적인 사탕발림이라는 사실이 어느순간부터 자리잡고 있다.
후보자가 제시한 공약은 비록 본인이 당선되지 않아도 당선된 후보가 지역 경제를 위해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 가능한 무거운 약속이라는 점에 보다 신중한 공약개발을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