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횡혈식 고분 발견
상태바
삼국시대 횡혈식 고분 발견
  • 곽주희
  • 승인 2001.05.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삼년산향토사연구회 탄부 평각(새골) 뒷산
지난해 누청·대야리에서 삼국시대(신라) 고분 수십기가 발견된 이후 탄부면 평각2리(새골) 뒷산에서 또다시 고분이 발견돼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 고분은 횡혈식 석실분으로 내·외부의 원형이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삼국시대 고분을 연구하는데 있어 귀중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삼년산 향토사연구회(회장 김홍원)는 4월 28일 탄부면 평각2리 구장서씨의 제보를 받고 탄부면 평각2리(새골) 뒷산(해발 200∼300m) 능선 정상에 있는 고분(혹은 고려장터) 10여기를 발견, 답사했다.

이번에 발견된 고분은 대다수 도굴꾼에 의해 파헤쳐진 흔적이 역력했으며, 이곳이 삼년산성 축조시 돌의 운반기점인 점 등으로 미뤄어 볼 때 신라시대 때의 고분으로 추정된다.

이중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고분 1기는 높이 1.5m, 넓이 1.6m, 길이 3∼5m의 장방형으로 성인 10∼15명 정도 앉을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있다.

또 벽면은 돌로 촘촘히 쌓고 윗면은 큰 널판석으로 올려놓은 가운데 벽면이 위로 올라갈수록 5∼10도 정도 기울어진 아치형태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런 고분은 6세기경 신라시대의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벽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아치형태로 궁륭식(둥근 천장, 돔형식)천정과 비슷한 것으로 고구려 및 백제·가야 등의 묘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답사를 한 향토사 연구회 회원들은 “이곳은 삼년산성을 축조하기 위해 돌을 운반하던 곳으로 지난해 누청·대야 고분과 같은 신라시대의 횡혈식 석실분일 가능성과 이 마을에 예전부터 구전되어 내려오는 고려장터일 가능성이 있다” 면서 “그러나 신라시대 집단 매장지이거나 삼년산성 축조 때의 공동묘지 또는 규모로 볼 때 호족들의 묘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정확한 학술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회원들은 “대야리 남서지역과 풍취리 지역의 고분은 거의 평지를 이용했으나 누청·대야리 지역 고분과 이곳은 대부분이 산 능선 정상에 위치한 점이 일치한다” 면서 “고분이든, 고려장 터이든지 역사의 현장으로 보존하고 발굴해 조상들의 장묘(례)문화를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현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보를 한 구장서씨는 “이곳 새골재는 과거 상주→보은→피반령→청주를 오가는 지름길로 삼국의 요새지이고, 예전부터 동네 사람들이 이곳을 고려장터라 불렀다” 고 말했다.

한편 (사)삼년산 향토사연구회에서 지난해에도 누청·대야리지역에서 신라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횡혈식 석실분을 수십기 발견했으나 아직까지 전문기관의 학술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역사속에 사장되어가는 현장을 보존하고 발굴해 잊어버린 우리의 역사와 삶의 흔적을 복원하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