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공에게 돌아가는 배, 급히 멎게 하면서 : 春江卽事 / 수암 권상하
상태바
사공에게 돌아가는 배, 급히 멎게 하면서 : 春江卽事 / 수암 권상하
  • 장희구(시조시인 문학평론가)
  • 승인 2016.05.26 1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92】
봄 경치와 술을 두고 음영했던 시문은 많다. 특히 얼었던 강이 풀리면, 새 생명을 잉태하는 듯, 온 대지는 꿈틀거린다. 움츠렸던 겨울이 지나가는 시점에서 시인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시심이 어찌 가만히 잠들어 있을 수만 있으랴. 시인 또한 얼음 풀리는 해빙을 재촉하는 봄강을 보면서 그냥 지나치지는 못했으리라. 우의정을 비롯하여 모든 벼슬을 사양하면서도 사공에게 배를 멎게 하며 주막을 물어보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春江卽事(춘강즉사) / 수암 권상하
부슬부슬 도롱이 입은 외로운 나그네
해 저문 뿌연 안개 모래톱 가리구나
사립문 주막집 물으려고 사공을 멎게 하네.
春雨몽몽掩客蓑 暮江煙浪沒平沙
춘우몽몽엄객사 모강연랑몰평사
急敎舟子停歸棹 隔岸柴扉問酒家
급교주자정귀도 격안시비문주가

사공에게 돌아가는 배, 급히 멎게 하면서(春江卽事)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1641~1721)다. 송시열(宋時烈)의 학통을 이은 노론 계열로, 인물성이론을 지지하는 호론의 입장을 취했다. 1703년부터 호조참판에 이어 1716년까지 13년간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부슬부슬 봄비에 도롱이 입은 나그네, 해 저문 강에 뿌연 안개 모래톱을 가린다. 사공에게 돌아가는 배, 급히 멎게 하고, 언덕 건너 사립문에 주막집을 물어 찾는다]라고 번역된다.
위 시의 제목은 [풀리는 봄 강물을 보며]로 번역된다. 비가 오면 어깨에 걸쳤던 도롱이가 생각나는 작품이다. 우장(雨裝)이라고 하여 비옷을 대신해 입고 논에 물꼬를 막거나 트면서, 들판에서 일할 때 볼 수 있었던 도구다. 이런 그림 한 폭의 정경이 시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
시인은 부슬부슬 내리는 봄비를 맞고 집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물을 가두어 대고, 물막이를 하여 모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롱이를 입고 있는 나그네 저 멀리 뿌연 안개가 그림같이 펼쳐졌던 모래톱을 살짝 가리면서 비가 오고 있다. 안개 낀 시골 정경이 한 눈에 펼쳐지듯 하다.
화자는 이런 자연에 취하고만 있을 수는 없었다. 나룻배를 타고 가면서 생각나는 것이 있었다. 세상을 모두 잊고 자연에 취해보고 싶은 곡주 한 잔에 생각났던 모양이다. [어이, 사공 배를 멈춰보시게. 사립문을 달고 있는 주막집이 어디이던가]하면서 묻는다. 올곧은 시인정신 선비정신을 새롭게 만난다.
【한자와 어구】
春雨: 봄비. 몽몽: 가랑비가 오다. 흐리다. 掩客蓑: 객이 도롱이를 입어 가리다. 暮江: 해저문 강가. 煙浪: 안개 물결. 뿌연 안개. 沒平沙: 모래톱 가리다.
急: 급히. 敎: ~하여금. 舟子: 사공. 停歸棹: 노를 멈추게 하다. 隔岸: 언덕 건너. 柴扉: 사립문. 問: 묻다. 酒家: 주막집.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