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환경보전사업 추진 ‘시급’
상태바
농업환경보전사업 추진 ‘시급’
  • 나기홍 기자
  • 승인 2016.04.07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환경농업 육성 및 농업환경자원 관리 강화 방안’ 통해 밝혀
농촌경제 연구원이 4일 농업 전반의 지속가능한 농업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농업환경지표의 지속적 갱신과 정책연계, 농업환경조사 시스템 구축 등 농업환경자원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2016∼2020) 수립에 대비하여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김창길 선임연구위원 등이 ‘친환경농업 육성 및 농업환경자원 관리 강화 방안‘ 연구를 통해 밝혔다.
고투입-고산출을 추구하는 관행농업은 화학농자재의 과다한 이용과 양분 과투입으로 토양과 수질 악화 등 농업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농업환경자원관리 실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농업환경자원관리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김창길 선임연구위원은 “작물 재배 시 양분 과투입으로 토양의 유효인산은 토양에 따라 1.3~2.1배 높고, 전국의 담수호와 저수지의 수질이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는 조사결과를 제시했다.
또한 “화학비료·농약의 적정사용 유도를 위한 시비처방서 발급작물 확대 등 농업환경자원관리의 성과도 있었지만 농업의 환경부하 절감 및 다원적 기능 증진을 위한 토지관리, 작물생산 방법, 농법 개발 등에 대한 연구·조사는 부족한 편이다”라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농업환경자원 관리 강화를 위해 첫째, 농업환경지표의 지속적 갱신과 정책연계, 둘째, 농업환경조사 시스템 구축, 셋째, 농업환경자원별 효과적인 관리, 넷째, 적정시비 시스템 구축, 다섯째, 농업환경보전 시범사업 추진, 여섯째, 농업정책사업의 친환경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농업환경 보전 기능을 강화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환경보전 시범사업’ 추진이 시급하며, 시범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