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평리 예지아파트와 대신아파트 주민들이 지난 12일 읍내 고층아파트 건설공사로 인해 인근 도로가 공중에 떠 있다며 민원을 제기했다.
13일 도내 신문들에 따르면 지역 주민들은 “우리가 출입하는 도로가 D건설이 시공하는 15층아파트 지하터파기 공사의 부작용으로 공중에 떠있는 도로가 돼 있다”며 “지하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수십일 동안 토사와 물이 흘러나와 위험해서 도로를 다니기가 무섭다”고 주장했다.
지역 건설업체 관계자는 “도로 옆의 지하공사를 하려면 CIP라는 전봇대를 박고 시멘트를 채워 도로밑 흙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고 나서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무조건 지하저수조와 지하실 터파기부터 시작해서 생긴 일 같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지역에 올해 11월 완공을 목표로 15층 아파트 88가구를 짓고 있는 D건설 관계자는 이에 대해 “1주일에 한 번씩 계측관리를 하고 있어 안전에는 이상 없다”며 “특별히 이상 징후도 없다”고 해명했다.
신문들은 “감독관청인 군은 공사 감리업체에 구조안전진단을 받고 그 결과를 알려달라고 공식 통보했다”고 전했다.
지자체 고충민원 처리 보은 ‘최하위’
○…보은군의 고충민원 처리 수준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도일보는 지난 16일 국민권익위원원회는 전국 17개 광역시, 도와 226개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도 고충민원 처리실태를 발표했는데 이 조사에서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증평군은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며 최하위 수준이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국민권익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 “기초 지자체 상당수는 기관장의 관심도, 옴부즈만 제동화 정도, 고충민원 처리의 주기적 점검 등 고충민원 처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소규모 교육지원청 통폐합 권고에 반발 이유가?
○…뉴시스 통신사는 보은군과 단양군이 감사원의 소규모 교육지원청 통폐합 권고에 반발하는 이유를 지난 13일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가장 큰 이유는 인구 감소 탓으로 가속화하고 있는 학생 수 감소다. 감사원이 마련한 소규모 교육지원청 통폐합 기준은 학생 수와 교육지원청 간 거리다. 해당 지역 학생 수가 도내 군단위 평균 학생 수의 75%에 미치지 못하면 40㎞ 이내 거리의 인근 교육지원청과 통폐합하라는 권고다. 현재 충북도내 군단위 교육지원청 평균 학생 수는 6314명이고 평균의 75%는 4736명이다.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곳이 도내에서는 단양(2748명)과 보은(3322명) 두 곳이다. 감사원의 권고대로라면 보은교육지원청은 도내 평균 보다는 적지만 75%보다는 많은 옥천교육지원청(5542명)으로 흡수돼야 한다.
뉴시스는 “교육부가 감사원의 권고대로 소규모 교육지원청을 통폐합하려 해도 여러 절차와 해당 지역의 반발 등으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며 “이 때문에 소규모 교육지원청 통폐합이 실현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지만 해당 지역은 혹시 하는 생각에 벌써부터 불안에 떨고 있다”고 전했다.
/김인호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