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 앞에 잎 지듯이 나쁜 생각 떨어내다 : 偶吟 / 일암 신몽삼
상태바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나쁜 생각 떨어내다 : 偶吟 / 일암 신몽삼
  • 장희구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
  • 승인 2015.06.11 1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48】
성리학은 인간 윤리를 가르친다. 사서삼경을 비롯해서 대체적인 외과서(外科書)들도 한결같이 이런 윤리를 가르친다. 인간의 기본윤리를 모르고 인간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소학이나 명심보감 심지어는 천자문까지도 인간의 기본 교훈을 기초로 가르치고 있다. 이런 윤리의식을 시문으로 일굴 때 그 내용이 교훈적인 사상을 담고 있었던바 서정성보다는 교훈성 시문이 무르녹는다. 교훈적인 내용을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偶吟(우음) / 일암 신몽삼
내 자신 옳고 그름 돌아볼 줄 알아야 하고
남의 장단 시비일랑 말하지들 말아야지
잎 지듯 나쁜 생각 떨치고 착한 마음 길러야지.
心有是非知己反 口無長短及人家
심유시비지기반 구무장단급인가
消除惡念霜前葉 培養善端雨後茅
소제악념상전엽 배양선단우후모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나쁜 생각 떨어내고(偶吟)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가는 일암(一庵) 신몽삼(辛夢參:1648∼1711)이다. 1675년 증광시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다. 어려서는 외삼촌 송정현에게서 글을 익혔으며, 자라서는 족조(族祖) 신민행의 문하에서 학문을 심화시켰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내 자신 옳고 그름 돌아볼 줄 알아야 하고, 남의 장단 이러니 저러니 말하지 말아야지,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나쁜 생각 떨어내고, 비온 뒤에 띠(풀) 자라듯 착한 마음 길러야지]라는 시상이다.
이 시제는 [그냥 한번 읊어 봄]으로 번역된다. 신몽삼은 주희와 이황의 학문에 몰두했다. 학덕과 인품이 훌륭하여 조정에서 여러 번 천거를 받아 ‘황산도찰방 ? 익위사세마’ 등에 임명되었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그의 저서 [일암집(一庵集)]에서 전하는 위 작품을 발췌하였는데 이 시는 평상시 깊이 생각하고 있던 바를 서술한 순수 교훈시(敎訓詩)의 성격이 짙다. 우리 인간은 자기 옳고 그름을 알지 못하고 남의 장단을 이러니저러니 먼저 말하는 경향이 있다. 이 시에서 시인은 적절한 비유법 두 가지를 만나게 되는데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비온 뒤에 풀 자라듯이] 라는 직유법이 그것이다. 그래서 자기의 나쁜 생각을 떨쳐버리고, 착한 마음을 길러야 된다고 가르친다.
남송대의 주희 학문의 원류가 그렇고, 이 학문의 맥을 정통으로 이어받는 퇴계의 학문 또한 인간 윤리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가르친다. 예나 이제나 선한 생각으로 행동하라는 가르침은 모두 같았던 것 같다.
【한자와 어구】
心有: 마음에 두다. 是非: 옳고 그른 것. 知己反: 자기를 돌아볼 줄 알다. 口無: 입으로 ~하지 말라. 長短: 장단점. 及人家: 다른 사람에 미쳐서는. 消除: 떨쳐버리다. 惡念: 나쁜 생각. 霜前葉: 서리 앞에 낙엽 지듯. 培養: 배양하다. 善端: 선한 일. 雨後茅: 비온 뒤에 띠가 자라듯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