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재현장에서
보은군과 대청댐관리단(단장 문태완)이 추진하고 있는 효나눔센터 건립이 회남·회인 두 지역주민들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고착상태에 빠져있다.
지난 881호(4월25일자)에서 언급한 바 있는 이 문제의 쟁점은 두 가지정도 요약된다.
하나는 센터건립의 장소로 두 지역 주민들이 각 자의 논리를 내세워 자신의 지역으로 유치하기 위해 노력중이고, 건립이 되지 않는 지역은 센터건립 자체를 무산시킬 기세이다.
또 하나는 센터건립 후 운영비로 사용되는 약 5억원 중 1억원을 기존에 주민생활지원사업비에서 충당하게 되면서 생기는 반발이다.
군이 진정으로 이 효나눔센터 건립을 원한다면 우선 주민생활지원사업에 사용되는 1억원이 센터운영비로 전용되는 문제부터 해결하기를 바란다.
자기 지역의 발전과 생활개선에 사용되던 1억원이 센터운영비로 전용된다니까 양 주민들은 기를 쓰고 유치하려거나 반대하려는 것이다.
만일 1억원의 주민생활지원사업비가 센터운영비로 전용되질 않는다면 자기 지역으로 반드시 유치하거나 유치가 되지 않으면 센터건립을 무산하겠다는 두 지역의 주민들의 목소리는 다소 잦아들 것으로 보인다.
군은 이제 관리단에게 이 문제의 1억원을 추가 부담하도록 협상에 나서야 한다.
물론 관리단이 댐주변지역에 주민생활지원사업으로 많은 돈을 내고 있고 각종 지원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2007년 감사의 연봉이 2억3천만원이나 하고 사장의 연봉도 이와 비슷한 정도인 수자원공사가 아닌가?
수몰지역민들의 희생을 대가로 매년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는 관리단에서 1억원을 추가로 더 부담한다고 해서 큰 부담이 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만일 관리단과 협상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차라리 군에서 추가로 1억원을 부담할 수도 있다.
이 센터가 건립되고 나면 회남·회인면 주민들과 인근 지역민들은 보은읍에 있는 복지관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가까운 곳에 센터를 두고 똑같은 혜택을 받으러 보은읍까지 나갈 주민들은 아무도 없기 때문에 복지관 운영비로 사용되는 예산을 센터운영비로 돌리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아무튼 보은군이 단초를 제공한 일로 양 지역의 주민들의 골이 더 깊어지기 전에 군이 나서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사안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
보은군의 현명하고 냉철한 판단과 강력한 협상의지가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