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여부 초읽기, 기사회생이냐 합병이냐 관심
회인농협에 합병권고안이 떨어져 존속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난 2월 농협중앙회로부터 경영진단을 받은 회인농협이 3월 지역본부 의결을 거친 합병권고안을 지난 4일 정식으로 통보받았다. 회인농협은 이에 따라 분기별로 경영개선세부추진계획안을 세워 농협 지역본부에 제출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불등이 떨어졌다.
합병권고안이 내려지면 180일 이내에 회인농협의 구체적인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합병권고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지원자금의 기한 전 회수, 예산 및 보조금의 제한 등 불이익이 초래된다.
우선 당장 예상할 수 있는 회인농협의 선택은 자체적으로 회생할 수 있는 자구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인원조정이나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해 중앙회로부터 회인농협이 자체 회생할 수 있다는 점을 부여받고자 자구안 마련에 심혈을 쏟아 부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회인농협은 결국 지역의 다른 농협과 합병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역농협의 흐름이 그렇고 자구안을 마련한다손 치더라도 회인농협 단독으로는 지속적인 경영이 힘들다는 판단이 우선해서다. 결국은 어떤 지역농협과 합병을 추진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회인농협이 합병으로 간다면 마로탄부삼승 세 농협이 통합한 남보은농협과는 또 다르다. 대등한 위치에서의 합병이 아니라 일방적인 흡수합병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경쟁력이 요구된다고 판단된 지역농협을 쉽게 받아줄지도 현재로선 미지수다.
전에 5개 농협을 통폐합한 보은농협의 경우 통합 후 안정적인 경영이 이뤄지기까지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는 견해가 있다. 보은농협은 적자농협을 인수함에 있어 출혈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회인농협이 보은농협과 통합이 이뤄지기에는 보은농협이 경험과 지리적 이점을 않고는 있지만 수월하지만은 않아 보인다.
인근 수한농협과의 통합도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수한농협과 회인농협의 조화는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서 규모가 허약해 보인다.
최근 출범한 남보은농협도 여의치가 않다. 지리적으로 보은읍을 경유하는 어려움이 있는 데다 세 농협을 합병한 지도 얼마 되지 않아 갈 길이 험난하다는 지적이다.
회인농협이 합병의 길을 선택한다고 하더라고 그 과정이 현재로선 어둡게 비쳐진다. 받아줄 지역농협과 합병하려는 농협 사이 실랑이가 한참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간에 농협중앙회 보은군지부가 일정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역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합병권고안이 떨어지면서 이래저래 회인농협의 장래를 두고 한동안 조합원 및 농협인들 사이에 회자될 것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