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院長(원장)을 지낸 조선 文臣(문신) 좌의정에 오른 丹巖(단암) 閔鎭遠(민진원)
상태바
10대 院長(원장)을 지낸 조선 文臣(문신) 좌의정에 오른 丹巖(단암) 閔鎭遠(민진원)
  • 보은신문
  • 승인 2006.03.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기형 /외속봉비/전군의원/유도회 보은군지부지부장/상현서원원장
實學思想(실학사상)의 擡頭(대두)와 그 영향

17세기 중엽은 매우 다양한 주장과 주의가 표출되기 시작했던 시기였다.  퇴계와 율곡의 학파가 각기 그 문로를 따라 학문상의 이론을 전개하는 가운데 주자학의 체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입장에서 經典(경전)을 해석했던 자주적인 학품이 胎動(태동)된 것이 바로 당시였고 종래에 이단시 되었던 陽明學(양명학)을 수용하여 자기 철학화 했던 鄭齎斗(정재두)가 태어났던 것도 이때였다. 이밖에 儒學史(유학사)에서 반드시 취급하지 않을 수 없는 학파가 또한 당시에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즉 經世實用學派(경세실용학파)인 것이다.

조선의 역대 경세론 자를 들면 초기에는 삼봉 鄭道悛(정도전)이 있고 그 뒤에 정암 趙光祖(조광조), 율곡 이이(이이)가 있었다. 그 뒤 17세기에 반계 柳響遠(유향원)이 있고 조금뒤에 성호 李瀷(이익)이 있었다.

반계와 성호가 각기 경세 실용의학을 주장했던 조금뒤인 英祖(영조), 正祖(정조)대에 이르러서는 많은 文人(문인)과 학자들이 울기하여 학품이 점차 변하게 되었다.

그들은 經史(경사)를 섭렵하고 諸子書(제자서)를 통달하였으며 實事求是(실사구시)의 학풍을 기치로 하여 매우 볼만한 업적을 내었다.

實事求是(실사구시)의 의의

실사구시는 사실에 토대하여 진리를 탐구하는 일 漢書(한서)의 河間獻王傳(하간헌왕전)에서 나온말로 空論(공론)만을 일삼는 陽明學(양명학)에 대한 반동으로 청나라 考證學(고증학)파가 내세운 標語(표어)이다. 문헌학적인 고증의 정책을 존중하는 과학적 및 객관주의적 학문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의 고증학파에서 영향을 받은 이조의 실학파들이 학문의 대표로 이를 표방하였다.

生涯(생애)와 저서
1664년(현종 5년)에 출생하여 1736년(영조 12년)에 돌아간 조선 문신
老論(노론)의 영수 호는 丹巖(단암) 보관은 여흥 여양부원군 維重(유중)의 아들 숙종비 인현왕후의 동생 송준길의 외손 1691년(숙종 17년) 증광문과에 급제했으나 당시 인현왕후가 유폐되어 있었기 때문에 등용되지 못하고 1694년 갑술옥사로 희빈 장씨가 강봉되고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등용되어 여러 관직을 거쳐 1705년 공조참의로 남구만 이구등의 형양 감소를 건의하여 실현케 했으며 1716년 대사성에 재직중 家禮源流(가례원류)로 노론 소론간에 싸움이 격화되자 정호등을 옹호했다가 파직 이듬해 노론이 득세하자 등용되어 평안도시관으로 파견 이어 遠接使(원접사)가 되었다. 1724년(영조 즉위년) 신임사화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나와 우의정에 특진 되어서 實錄廳(실록청) 편찬을 관장했고 소론인 유봉휘를 탄핵하여 유배케 한 뒤 송시열의 증직을 상소했다. 이해 좌의정에 승진 문장에 능하고 글씨를 잘썼다. 시호는 忠文(충문), 저서 燕行錄(연행록), 丹巖奏議(단암주의) 10전 등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