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 자립행 사립고 등 대안 모색해야
대도시와 농촌학생 간 학력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또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을수록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는 보고서가 지지난달 14일 발표됐다. 2003년 고2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력평가 결과가 과목별로 최고 23점이나 된다고 한다. 자녀를 둔 부모의 입장에서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특히나 교육을 빌미로 보은을 등지는 지역민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말이다.
얼마 전 서울시 교육감은 올해 말 교육부의 자립형 사립고에 대한 운영결과가 나오면 자립형 사립고 설립을 교육 소외지역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자립형사립고는 학생선발과 등록금 책정, 교육과정 편성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민족사관고와 같은 형태가 될 것 같다.
현재 자립형 사립고는 포항제철고, 광양제철고, 해운대고, 전주 상산고, 횡성군 민족사관고, 울산 청운고 등 전국 6곳. 자립형 사립고에 다니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일반계 사립고 전체보다 높다는 평가다. 교육부는 각계 의견을 수렴해 11월 말께 정식 도입 여부를 경정할 방침이라고.
산청군 간디학교, 화성 두레자연고, 청원 양원고, 천안 양안고, 무주 푸른꿈고, 완주 세인고 등 공통점은 대안학교란 점. 대안학교는 정상적 학교생활을 하기 어려운 학생 (이하 생략) 등이 개인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기 원하는 학생들에게 체험학습 등 다양한 교육내용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학교라고 입법예고 되어 있다.
전국 70개 대안학교 가운데 인가를 받은 곳은 고교 18곳, 중학교 6곳 등 모두 24곳이다. 교육부 입법예고안을 보면 대안학교 수업연안을 학칙으로 정하고 초중고 과정을 통합해 운영한다는 조항도 담고 있다.
설립기준과 교육과정, 학력인정 등 대안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들은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인가 대안학교들은 초중고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학력이 인정되고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데 상당한 기대를 하고 있으며, 법 개정 추진이 대안학교 공식화와 대안교육 공공성 실현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으로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서울 강남, 대전 둔산 등의 집값 상승과 보은을 떠나는 요인으로 자녀교육이 우선 꼽힌다. 이를 막는 길도 교육이다. 지역의 특성을 살린 해결 방법은 있어 보인다. 못찾았을 뿐이라고 말하고 싶다.
얼마 전 군내 사립 인문계 고교에 사상 처음으로 외부서 유능한 교장선생님을 초빙해 왔다고 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자식을 맡긴 부모의 심정과 지역민의 기대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보은의 현실을 감안한 소신 있는 교육으로 각 학교가 우뚝 서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