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영동 놓고 줄다리기…15일 최종 확정
하나의 국회의원선거구로 묶여져 있던 보은·옥천·영동 선거구가 내년에 있을 총선에서는 2개선거구 즉 보은-옥천과 영동선거구로 나뉘어 선거를 치르게 될 전망이다. 여야는 지난 12일 총무회담을 열고 15대 국회의원 선거구(지역구)를 현행 2백37개에서 23개 늘어난 2백60개로 늘리고 전국구 의석수는 62석에서 39석으로 줄이기로 최종 합의함에 따라 보은-영동, 옥천선거구 분구로 합의했었다. 하지만 당초 보은-옥천-영동분구 문제는 지난 11일 밤 박준병위원장이 현경대 민자당총무와의 만남에서 민자당안인 '영동과 보은-옥천분구'로 결정되어 12일 여야원내 총무회담에 올려졌었다.그러나 합의과정에서 지리적인 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4월말 현재 인구가 옥천 6만4천8백62명, 영동 6만3천8백49명, 보은 4만9천1백96명으로 지역구중 옥천군이 인구가 가장 많다는 현실을 들어 옥천을 독립구로 하는 안을 결정 영동지역민들을 실망시켰다. 이러한 결정은 '30만이상 선거구분구-7만이하 선거구폐지'라는 국회 선거구획과정의 건의를 무시한 △30만이상 분구 △도·농통합지역 기존 선거구 유지 △7만이하 선거구 유지라는 새로운 원칙에 따라 매듭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여야총무회담 결과를 놓고 정당의 이해관계에 따라 지역구 늘리기에 치우쳤다는 비난을 받은데다 보은과는 지리적으로도 이웃하지 않았는데 한선거구로 묶인것에 대해 특히 영동지역민들의 큰 반발을 일으켰다. 보은-옥천-영동을 2개선거구로 나눈것은 애초 제천과 단양을 기존의 2개 선거구로 유지하는 민자당의 안을 민주당이 단양인구 4만5천의 현실을 들어 완강하게 반대하자 자민련과 연합하여 충북의 9개 선거구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준병위원장은 항시 영동분구를 주창해온데다 보은과 영동이 지리적 연결조차 되어 있지 않아 영동분구안의 관철을 위해 내무위원회가 열린 13일 야당총무들과 개별접촉을 벌이며 협상한 결과 내무위 법안심사소위에서 영동분구를 잠정합의했다. 보은-옥천-영동 선거구분구는 15일 국회본회의에 최종 상정되어 확정된다. 이에따라 주민들은 영동의 독립구 분구에 관심을 기울이는 한편 변화가 예견되는 내년 총선에 출마할 예상자를 손꼽으며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