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개발 중단과 납득 할수있는 대책 수립 요구
생수불법판매 저지에 따른 주민과 회사측간의 잠정합의가 무산되었다. 주민들은 지난 20일 인근 3개리의 식수해결과 농작물 피해는 물론 반경 5km내에 향후 발생되는 모든 피해발생에 대해 보상해주는 회사측과의 잠정협상을 했었다. 그러나 협상이 무산되고 26일 생수 불법판매 저지를 위한 군민공청회를 여는 등 판매저지 농성이 더욱 강력한 투쟁으로 치닫고 있다.우리물지키기 대책위원회는 회사측과 주민과의 잠정합의서에 관계당국이 각서를 쓰고 공증을 서달라고 요구하며 회사측에 5일간의 유예기간을 줬지만 당국의 공중도 없고 이는 결국 시간을 끌어보자는 의도로 판단한 주민들은 원점으로 돌아가 생수시판 저지농성에 재돌입한 것이다. 이날 공청회는 26일 오후 2시 산외면사무소에서 열려 배달환경연구소장과 수자원 부문 기술박사, 지질학 부문 박사 등을 초청 지하수 유출로 인한 문제점을 청취하는 등 주민반대를 전군민적으로 확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물지키기 대책위원장 김서구씨는 "주민들이 불법 생수판매 결사반대 입장을 밝힌자가 보름여가 되어도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하기는 커녕 구내의연하고 아직도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 회사와 행정당국의 모습에 실망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더이상 눈가리고아웅식의 방법에 속지않고 주민들은 더욱 강력한 투쟁을 해나갈 것"이라며 생수개발중단은 물론 행정당국은 주민이 납득 할수있는 대책을 수립 실시하고 부실하게 제정된 먹는샘물관리법을 시급히 보완하여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우리물지키기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연일 농성지원자가 늘어나고 있고 각 마을에서 성금이 답지되고 부녀회원들이 자진해 식사를 제공하는등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삶의 터전을 지킨다는 결집된 힘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혀 생수판매저지 농성이 장기화 될 조짐이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