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투성이라 더 숭고합니다
상태바
상처투성이라 더 숭고합니다
  • 오계자(소설가)  
  • 승인 2025.08.14 0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대 앞에서는 몰랐습니다. 집으로 돌아와 잠자리에 들면 영상이 나타납니다. 문장으로는 물론 말로도 형용할 수 없는 당신의 아픔은 곧 민족의 수난이요 고통이었지요. 그대 영혼은 너무나도 큰 슬픔을 안고 있기에 모습이 더 아름답습니다. 그 슬픔을 공감하기에 만날 때마다 더 애절합니다. 썩어 문드러지는 살점을 뚫고 새 핏줄을 이어  뿌리와 가지로 주고받는 당신의 모습을 오늘 뵙고 가슴 아리도록 숭고했습니다. 억울해서 이대로 떠날 수 없다고 오기로 버티었던가요. 얼마나 기가 막히고 또 막혔으면 당신의 속이 온새미로 내려앉아 텅텅 비어 버렸을까요. 
그 아픔을 미처 생각 못하고 신기한 듯 텅 빈 몸속에 들어가서 살피기도 했던 날, 그날도 밤이 되어서야 비로소 깨닫고 미안해서 후회했답니다. 오늘은 당신의 억장이 무너져 텅 빈 몸속을 차마 들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지난해보다 조금 더 굵어진 새 생명 줄을 한참 어루만져 보았습니다. 감히 견줄 수는 없지만 그래도 당신을 보면 질곡의 세월을 견딘 내 삶이 자꾸만 알찐거립니다. 그래서 더 공감 하는가 봅니다. 

임진란이 불태워버린 법천사지 황량한 벌판에 고즈넉하게 서서 사찰의 역사와 민족의 수난까지 슬픔을 온몸으로 품고 천년을 버티어 온 늙은 느티나무는 올 때마다 다른 이야기를 전해준다. 십오여 년 전에는 대접 받지 못하고 슬픈 역사만 지닌 채 길가에 서있는 노거수가 초췌해서 짠했다. 
지난해 만났을 때는 절터 복원으로 길가가 아닌 안쪽 뜰이 되었고, 삐딱하게 폼 잡던 개구쟁이 아기나무가 후계목이 되어 당당한 청년이다. 간간이 老木을 찾아오는 사람들을 보니 외로움보다는 간수해온 사연들이 당당하게 대접받는 희망이 보였다. 
   
불타지 않은 지광국사 돌탑은 도둑들에 의해 일본까지 끌려간 걸 찾아왔단다. 조각난 몸체를 대전 국립문화재 연구소에서 시멘트로 복원해서 제 본향인 법천사지에 건립 중인 문화재 전시관으로 모신단다.  
문화재 공부를 하면서 답사를 많이 다녔지만 지광국사 탑비는 다른 탑비에 비해 조각 수법이 섬세하고 세련미가 돋보인다. 용두와 측면의 용문이 화려하지만 격 떨어질 정도는 아니고 품격을 갖추었다. 비의 몸체를 받치고 있는 비희의 등에 세긴 임금王자를 보면 지광국사께서 왕에는 못 미치지만 버금갈 만큼 대단한 존재였음을 짐작케 하며 법천사가 얼마나 거대한 사찰인가를 짐작케 한다는 설명에 공감했다. 불타지 않은 탑과 탑비가 문화재로 관심을 받을 동안에도 노거수는 사찰과 민족의 숱한 사연들을 지니고 수난을 겪으며 고래심줄 같이 생명을 유지해야만 했다. 하늘과 땅이 심어주고 키워주고 하겠지만 세찬 칼바람에도 한여름 땅이 갈라지는 가뭄에도 굴하지 않고 모진세월을 버티고 견딘 힘은 우리 민족의 근성을 닮은 노거수의 질기고 강직한 영혼이다. 그래서 더 아름답고 숭고하다.
누 백년 누천년 수난과 서러움이 켜켜이 쌓인 상처만으로도 큰 고통일 텐데, 살 속에 박힌 큰 돌을 보는 순간 너무나 짠해서 수술로 꺼내 주고 싶었다. 
그나마 오늘은 老木의 활기찬 생명력을 보았다. 버슬거리는 살점덩이가 뭉개지면 뭉개지는 대로 세월에 맡기지 않고 새 생명 줄을 형성해서 땅으로 뿌리박고 둥지로 연결하여 혈맥을 잇는 핏줄이 되고 튼튼한 다리 역할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쓰다듬어도 보았다. 아 이럴 수도 있구나.
나는 나이 들면서 자꾸만 움츠리는데 노목의 생명력과 활기를 보면서 자신을 돌아본다. 지인들에겐 폐만 끼치는 것 같은 자격지심에 기가 죽고, 자식들과 가족에겐 짐만 되는 것 같은 미안함이 때로는 잠을 설치기도 한다. 
이 노거수의 새 생명줄을 쓰다듬으며 다짐했다. 내가 지금 새 생명줄을 보며 반갑고 고마운 마음이 들 듯, 활기차고 목표를 향해 열심인 내 모습을 자식과 가족에게 보여주리라 결심했다. 그래서 더 열심히 책을 읽고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쓴다. 
지난해보다 더 듬직하게 자란 노거수의 새 뿌리를 보며 나 자신의 활력을 찾았다. 역시 노거수의 노하우는 인간에게도 귀감이 된다. 젊은 뿌리를 어루만지며 이제는 슬픈 천년이 아니라 대접받는 새 천년을 누리소서! 기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