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분야 군민복지와 지역신문의 상생 설계
상태바
정보 분야 군민복지와 지역신문의 상생 설계
  • 김낙경(보은군공동주택협의회장)
  • 승인 2023.11.30 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낙경(보은군공동주택협의회장)
김낙경(보은군공동주택협의회장)

 독자가 있을 때 존재하고 역할을 하는 지역신문이 커다란 위기를 맞고 있다.
스마트폰만 열면 뉴스가 쏟아지는 시대를 살고있는 오늘날 젊은이들은 신문을 거들떠보지도 않고, 고령화와 인구소멸에 따른 수요감소로 경영악화, 종사자 이탈, 인프라 악화 등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어 마치 석양의 일몰을 보는 것 같다.

 하지만, 여전히 지역신문의 신뢰성과 필요성을 대체할 수단은 없다고 본다. 
지역신문은 중앙지에서 다뤄지지 않는 지역의 관심 사안과 이야기를 담아내고 현안의 경우 지속적인 취재와 후속 기사 등 심층적으로 다루면서 공론화를 통한 지역 솔루션 저널리즘 실현의 기능 때문이다. 즉, 공익에 기반하는 지역 공공재이며 공신력을 생명으로 하는 주민의 대변자이자 제3의 감시기능으로 높은 도덕성의 보루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언론에 대해 늘 정론직필과 정도추구, 공정성과 건전한 공론 형성 등을 요구해왔다. 그러면서도 정작 인구 소멸시대 지역신문이 처한 경영상 어려움이나 재정여건에 대해서는 별 관심과 걱정이 없는 듯하다.
 만일, 경영상 어려움으로 지역신문이 없어진다면 가장 불편한 측이 누구인가? 
당연 정보의 소비자 군민 아니겠는가.. 라는 답에 이의가 없다면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고 선제적으로 그 대안을 마련해 가는 것, 그것이 바로 자치단체에서 추진해 가야 할 정보 분야 군민복지라 할 수 있다. 현재 지역신문은 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그대로 고사할 수밖에 없다. 

  「지역신문 발전지원 특별법」 제4조 제1항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신문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하며, 제2항에서 육성과 지원 시책을 위하여 필요한 법제상, 재정상, 금융상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근거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단순 경상 사업보조 방식이 아닌 군민 전체 가구를 구독자로 삼는다는 파격적 발상을 한다면 해법은 마련된다. 그럼 지금부터 문제에 대해 좀 더 접근해보자. 물론 과거 논의되었던 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그 지향은 ‘도시형 농촌’이라는 군정 슬로건 아래 정보의 공급자와 소비자의 상생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개념이다. 

 전제했듯이 지역신문이 지역의 공공재 이자 공익을 추구하는 매체라는 본질에서 시작된다. 
 우리 보은지역은 양대 신문사가 상호 경쟁적,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열악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공급자 역할을 무사히(?) 이어오고 있다. 
 이에 그 상생 방안으로 보은군 전체가구를 구독자로 삼고 대추고을소식지(이하 ‘대추신문’)를 통합해 양대 신문의 지면에 보도하면서 이를 지원한다는 방식이다. 
 그럴 경우 월간 대추신문은 주간으로 편승되어 군민 모두 시차 없는 군정 정책과 홍보를 접할 수 있고, 지역신문은 경영여건 개선과 우수인력 합류, 컨텐츠 다양화와 현안 심층 취재, 경쟁력 강화와 공익성 제고 등 군민 전체에게 보다 수준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는 선순환의 상생 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전년도 기준 양대 신문사 즉 ‘보은신문’과 ‘보은사람들’의 총 유료부수는 3,590부〈한국 ABC협회 자료 참조〉에 월구독료 6천원을 감안하면 월간 총 2천1백만원 규모인데, 이는 각 신문사 인건비와 경상비 충당도 힘겨워 보인다. 한편 보은군은 현재 가구수 16,874세대에 대추신문 예산 1억7천만원을 포함하여 여기에다 양대 신문 면수에 포함하는 비용으로 가구당 한주에 330~350원 정도 지원하면 이 정책은 실현된다. (물론 이 산출은 예시로서 별도의 적정한 연구분석이 필요함) 
 이렇게 될 경우, 전체 군민들은 무상으로 대추신문과 결합한 지역신문을 구독하게 되어 전국 최초로 지자체의 지역신문 성공모델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양대 신문사의 구독은 군민 개개인의 선택에 따르도록 하며, 신문사는 보도 방향이나 기사의 다양성 등 군민들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되어 상호 기사의 품질과 보도의 신뢰로 경쟁 구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행을 뒷받침할 근거는 「지역신문 발전지원 특별법」에 의거 군에서 지원조례를 제정하면 된다, 이 조례는 전국적으로 광역·기초단체를 통틀어 11개 자치단체가 제정하고 있고 그중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는 인천시 강화군이 유일한데, 2023년도 민간 경상 사업보조 6억9백만원을 편성해 시행하고 있는 사례는 참조할만하다.

 맹자〈孟子〉의 무항산무항심(無恒産無恒心)을 인용하여 “ 경영이 안정되지 않으면 언론이 올바른 기능을 하기 어렵다”는 말로 귀결할 수 있다. 
 정보의 소비자와 공급자는 순망치한(脣亡齒寒)과 같은 관계로서 상호 지속 가능한 방안의 모색은 모두가 당사자이며, 바로 지금 현실의 문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