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레 민문화 강연회 및 작은 음악회 ‘성료’
상태바
에밀레 민문화 강연회 및 작은 음악회 ‘성료’
  • 나기홍 기자
  • 승인 2023.10.26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만동 대표 “민문화의 뿌리 이어가겠다” 밝혀

 

에밀레민문화 작은 음악회에서  민요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에밀레민문화 작은 음악회에서  민요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이만동 조자용민문화연구회 대표.
이만동 조자용민문화연구회 대표.

  조자용민문화연구회(대표 이만동.67)가 주최한 ‘제6회 에밀레 민문화 강연회 및 작은 음악회’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 21일(토) 속리산 에밀레박물관에서 ‘우리 말 그리고 몸과 마음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펼쳐진 이번 강연회 및 작은 음악회에서는 우리 말의 뿌리인 ‘다섯 글자’를 통해 우리 문화의 근원을 찾아보고, 우리 말과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해 토론하고, 우리 문화의 자랑인 ‘직지’의 비밀도 한가닥 한가닥 풀어봤다.
  이만동 대표는 이날 기조발언을 통해 “오늘 개최되는 에밀레민문화 강연회와 작은 음악회는 에밀레박물관 설립자이신 조자용 박사의 뜻을 이어 우리 민문화의 뿌리를 찾고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자리”라며 “오늘 행사를 통해 우리 말과 소리와 몸 속에 스며들어 있는 우리 민문화의 흔적들을 함께 살펴보고, 우리의 고유의 문화와 전통이 과거에 머물러 있지 않고 오늘에 다시 좋은 모습으로 살아나 더 좋은 나라, 더 좋은 사회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황선주 서원대 중문학과 교수가 ‘직지는 금속활자인가?’ 주제의 강의를 통해 “우리의 자랑스러운 세계적 문화유산 '직지'의 가치와 우리나라 인쇄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계속해, 낭독극 ‘민중의 적’이 공연됐고, 만신과 명창, 명인 등이 어우러진 우리 소리와 몸짓 흥이 어우려져 상판리 새목과 불목 골짜기를 쩌렁쩌렁 울렸다.
 속리산면 상판리 정이품송 맞은편에 위치한 ‘조자용민문화관’은 지난 1980~90년대 고 조자용(趙子庸/1923~2000) 박사가 개관한 에밀레박물관과 우리 고유의 민문화 체험캠프를 운영해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던 우리나라 사설박물관 1호다.
 실제로 고 조자용 박사는 1983년 에밀레박물관과 민문화 체험캠프를 설립하고 하늘이 열린 날을 기념해 매년 개천절이면 국중대회를 열었다. 
 또, 에밀레박물관에서 마을 주민과 방문객들과 함께 천지인 삼신과 한인, 한웅, 한검 삼성에게 제사를 올리는 천제(天第)와 지신밟기 등도 선보였다. 또 막걸리와 음식을 나누기도 했다. 하지만 23년전인 2000년, 조 박사의 타계 이후 에밀레박물관이 문을 닫으면서 개천철 국중대회도 중단됐다.
 조자용 박사의 작고로 관리가 소홀해져 방치되다시피 한 데다 1998년 수해와 2014년 화재로 초가집, 너와집으로 구성된 건물과 이곳에 비치되었던 수많은 민화와 소장품이 물에 잠겨 훼손되거나 불에 타 소실되는 비운이 따랐고 이는 한동안 방치되어 풀과 잡목이 무성했다.
 이를 보다 못한 고 조자용 박사의 외손자 이만동 대표는 2014년 화재 이후 민속학회 등 뜻있는 이들과 힘을 모아 복원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에밀레박물관과 우리 고유의 민문화 체험캠프 복구에 발 벗고 나섰다.
   2019년 ‘조자용민문화연구회’로 발전시켜 시설복구 및 복원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함은 물론 각종 전시, 강연, 공연등 의 문화행사를 통해 조자용 박사의 유지를 계승 발전시켜 에밀레박물관을 우리나라 민문화의 메카로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 해오고 있다.
 실제로 2018년 조 박사 생존 당시 열었던 개천절 국중대회 재연은 물론 천제(天第)를 시작으로 떡치기, 순두부 만들기, 전 굽기 등의 음식만들기와 막걸리(도깨비 국물)잔치, 전래놀이 마당, 마당놀이, 지신밟기, 사물놀이는 물론 가야금 연주, 가곡, 우크렐레 연주 등 다양한 공연도 지속해 오고 있다.
  이만동 대표는 ”앞으로도 조자용 박사님이 남기신 다양한 민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자랑스런 우리 문화를 널리 확산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에밀레박물관은 한국 민화 연구에 힘을 쏟던 조 박사가 세운 1만1000여㎡ 규모의 사립 민속박물관으로 1967년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이 박물관을 세운 후 1983년 4월 현재의 자리 로 이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