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사사고, 관계기관 뒷짐
상태바
익사사고, 관계기관 뒷짐
  • 송진선
  • 승인 1997.07.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조장비 갖춘 구조단 운영 시급… 주민피해 최소화
군내에서 물놀이로 인해 익사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관내 관련기관에서 구조장비를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아 유사시에 대비한 인명구조단 운영에 허점을 보여 익사사고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여름철 군내 하천이나 계곡 등에서 물놀이를 벌이고 있고 특히 방학으로 인해 학생들의 물놀이가 빈번해짐에 따라 부주의로 인한 익사사고 발생이 증가할 소지가 높아이에 대한 대비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군내에는 보은읍과 외속리면에 응급 구조 장비로 구명조끼와 보토등을 구비한 수방단이 있으나 잠수복 등 실질적인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소류지 등에서의 익사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대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119 읍급구조대도 잠수복 등 인명 구조 장비를 갖추고 있으나 익사사고에 대한 적극적인 구조활동을 벌이지 않아 현재 익사사고가 일어났을 때에는 관계기관의 무성의로 인해 주민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하는 형편이다.

실제로 지난 17일 탄부면 덕동리 앞 보청천에서 발생한 어린이 익사사건에서도 군과 119 구조대가 아닌 보은군 해병동지회에서 적극적으로 수색작업을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보은군 해병동지회에 자체적인 구명장비가 없자 지난 19일 옥천 해병동지회가 결성한 인명구조대에 까지 연락을 취해 수색작업 7시간 여만에 사체를 인양했다. 당초 주민들은 사체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자 청주에 있는 사설 인명 구조단에 연락했으나 이들은 효과를 보지도 못한 채 출장비만 40여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에 따르면 행정기관과 119 응급 구조대에도 신고를 해 당시 실종된 어린이 수색을 요청했으나 119 구조대에서는 수색작업을 벌이다 중단하고 돌아갔다는 것. 주민들은 「군과 119 구조대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익사자 수색작업을 소극적으로 벌이고 있는 것은 문제가 많다」며 「행정기관과 119구조대에서 장비를 제대로 갖춰 유사시에 대비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지역 수방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