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서장 이름딴 『巨橋里』 고유지명으로 명칭 변경 해야
관내 잘못 알려진 행정명들이 사용되고 있어 변경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회남면 거교리의 예전이름은 『것뜰』인데 들에 물이 부족하여 불리게 된 이름이다. 군지에는 큰 다리가 마을앞에 있어서 『거교』라고 불리우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마땅한 이름을 찾던 중 당시 회남면지서장이었던 일본인 거교가 자신의 이름을 본떠서 『거교』라고 지어 불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으며 그후로 『것뜰』이라는 예전부터 이어져 온 마을명은 그만 자취를 감추고 말았던 것이다.이 사실을 선조로부터 들어왔던 사람중에서 청주 거주 한영우(당시 교육자)씨는 마을명을 고치려는 운동을 시도했으나 결국 성사되지 않아 아직도 거교라는 행정명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은읍 이평리의 원래명칭은 『주평』이다. 지형이 배처럼 생겼다고 하여 뱃들 또는 주평(舟坪)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 배(舟)를 배(梨)로 오인하여 『이평리』라 했다고 한다.
보은읍 학림리의 원래명칭은 『함림』이다. 함림산성아래 있어 『함림』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학림』으로 잘못 표기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외속리면 장재리는 예전에 표장자(表長者)가 살았으므로 장자불 또는 장자동이라 줄곧 불리워왔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 근거없는 명칭 『장재리』라고 불리워지게 되었다.
마로면 세중리는 조선시대에 역마(驛馬)를 먹이던 곳이 이 마을에 있어 『역마촌』또는 『마루』라고 불리워졌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시 줄곧 불리워온 우리 고유의 이름은 사라지고 근거없는 『세중리』라고 불리워지게 되었다. 수한면 성리는 마을에 벼랑이 있다하여 별리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비리』로 줄곧 불리워오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리』로 둔갑해버렸다.
수한면 소계리는 지형이 소의목에 해당한다하여 쇠메기 또는 우항(牛項)이라 하였는데 1914년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소계리』로 불리워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잘못 표기된 행정명의 대부분은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 통폐합을 단행하면서 일본잔재가 그대로 남아있거나 개정하려는 당사자의 관심없음과 무지로 인한 오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행정구역 개편하면서 잘못 고쳐진 마을명으로 인해 그동안 줄곧 사용되었던 유래가 깊은 우리의 고유한 마을이름이 중도에서 끊겨버리는 유감을 초래하고 말았다.
현행 행정명을 변경하는데는 내무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해 역사적 전통 및 문화의 계승등으로 명칭변경의 필요성이 있는 지역, 현행명칭의 어감이 좋지 않거나 혐오감을 주는 경우, 당해 지역주민이 명칭변경을 희망하는 경우등에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행법에 의하면 관내 잘못된 행정명은 지역주민들의 희망여부에 따라 충분히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일제시대의 잔재로 남아있는 행정명이나 담당자의 무지로 인한 오기를 하루속히 변경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