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곡수매 목표 미달인채 완료
상태바
추곡수매 목표 미달인채 완료
  • 송진선
  • 승인 1998.12.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만포대 그쳐 목표대비 76%에 불과
지난 19일로 올해산 추곡수 매가 완료됐으나 당초 수매목표량에는 크게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군에 따르면 물벼 7만1250포대와 포대수매 16만5250포대로 총 23만6500포대 수매를 계획해 물벼는 100%를 완료했으나 포대수매는 당초 계획대비 76.4%인 18만652포대를 수매하는데 그쳤다. 이와같이 수매실적이 저조하게 나타난 것은 지난 8월 수해와 태풍 예니의 영향으로 군내 벼 수확량이 크게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은농협과 탄부농협 등 지역 곡창지대에 있는 농협에서 벼를 무한 수매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시중 도정공장과 외지 상인들이 보은, 탄부, 삼승지역에서 생산되는 쌀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정부수매와는 달리 포장과 정선 등을 하지 않은 벼를 고가에 대량으로 매입하고 일부에서는 쌀값 이상 기대 심리로 수매를 하지 않은 것도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추정이다. 각 지역별 수매실적을 보면 보은읍의 실적이 가장 낮아 수매계획의 66%에 불과한 3만4204포대, 내속 3200포대, 외속 1만4180포대, 마로 2만4593포대, 탄부 4만2753포대, 삼승 2만9342포대, 수한 1만1309포대, 회남 1282포대, 회북 8726포대, 내북 5815포대, 산외 5248포대를 수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등급별로 수해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를 입은 농경지가 많아 전체적으로 품질이 떨어진 결과를 보였는데 1등은 97년보다 2.5% 낮은 92.1%, 2등은 2.2%가 더 많은 7.5%, 등외도 0.3%가 더 많은 0.4%로 나타났다. 역대 정부 추곡수매의 경우 매번 수매배정량의 부족으로 농업인들이 원하는 물량 전량을 수매하지 못하자 수매물량 확대를 요구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대조되는 현상이다.

실제로 97년에는 물벼는 6만포대를 배정해 전량 수매하고 농업인들의 반응이 좋아 올해는 1만1250포대를 늘려 7만1250포대를 배정해 역시 배정물량 전량이 수매됐다. 반면 포대수매의 경우 지난 97년에는 20만8000포대를 배정했다가 올해는 약 4만포대를 덜 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의 53%에 불과한 약 11만 포대를 수매하는데 그쳤다. 군관계자는 "정부가 연초에 수매가 등을 예시해 수매량을 계약하고 정부 수매가가 비싸면 정부수매에 응하고 시장가가 비싸면 시중에 방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올해 정부 수매목표량을 채우지지 못했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