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인구라도 늘려야 보은이 산다
상태바
유동인구라도 늘려야 보은이 산다
  • 나기홍 기자
  • 승인 2019.01.24 12: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성공한 통치자는 국민들이 배부르게 먹고 살 수 있는 문제, 즉 경제문제를 해결했다.
한 가지를 더 꼽자면 국민의 평균수명을 얼마나 높이느냐다.
경제를 성장시켜 부국이 되고 부의 분배를 통한 사회복지에 힘써 국민이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는 통치를 했다면 이는 성공한 통치자며 옛날로 말하면 성군(聖君)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소득은 세계 31위로 나타났다.
인구 2000만 이상의 국가만 보면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에 이어 9위였다
이는 2014년 13위에서 4계단 뛰어오른 놀라운 기록이다.
인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우리나라보다 1인당GNP는 높지만 인구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작은 나라들이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GNP세계1위(11만 573달러)인 룩셈브르크의 인구는 50만명이 조금 넘고 2위(10만4655달러)인 카타르의 인구는 200여만명에 불과하다. 스위스, 아일란드, 벨기에, 핀란드, 아이슬란드, 브루나이, 뉴질랜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국민인구 5000만명에 GDP나 GNP가 2만 달러는 넘어야 강국으로 쳐준다.
그러기에 룩셈브르크, 카타르, 스위스, 브루나이, 뉴질랜드 같은 나라를 강대국으로 인정하는 국가는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2018년 인구 5182만명에 1인당 GDP도 3만1000달러 넘어섰기 때문이며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G20 회원국가로 강대국임을 자부할 수 있다. 그런데 앞날은 암울하다. 강대국의 기준이 되는 인구와 GDP중 인구에 구멍이 생겼다.
더 이상 생산인구가 늘어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산아제한정책이 실패한 정책임을 자인하고 이제는 출산장려정책으로 돌아섰고 자치단체들도 출산장려정책과 각종 인구정책으로 인구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마을공동화현상이 벌어진 것이 오래며, 특히 농촌지역의 경우 한마을에 3~400명이 살던 마을 이제는 100여명에 지나지 않고 집을 내놔도 사는 사람이 없다.
우리나라도 그렇다. 아이울음소리가 그친지 오래고 느는 것은 빈집이며 날아 들어오는 우편물은 부고장이 많다.
 보은군은 인구 증가를 위해 별별 방법을 다 써보지만 우진플라임이 준공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 2015년 몇 명 늘어나는 듯 했던 인구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고 2018년에는 3만4000명의 인구가 무너져 3만3700여명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국제결혼을 통해 늘어났던 결혼이주여성이 끊기고, 귀농했던 사람들 중 일부는 농업의 전문성과 수익성이 떨어져 보은을 떠나는 이들도 있기 때문이다.
 고맙게도 결혼이주 여성들이 나아준 2세들이 군내 초등학교를 유지하게 만들어 주었지만 이제는 이 자녀들도 초등학교 입학이 끈긴 상태다.
  실상 국제결혼은 군에서 정책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고 노총각이 늘어나다 보니 개인이나 회사의 이익을 위해서 결혼정보회사가 주도한 것이 우연히 농촌인구를 그나마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 것에 불과했다.
인구유입을 위해서 지자체들은 그 어느 때보다 기업유치와 귀농 귀촌인 유입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전국적인 출산율감소와 교통발달로 시골에 거주하려는 인구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은을 찾는 인구는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동절기임에도 불구하고 보은의 숙소를 임대해 합숙훈련을 하며 속리산을 달리고 있는 육상, 야구팀등 5종목 10개팀의 전지훈련 열기가 뜨겁기 때문이다.
보은군 인구는 줄고 있지만 보은을 찾는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이들이 보은경제에 커다란 도움이 되기 때문에 유동인구도 보은의 인구일수 있는 것이다.
거주인구가 늘지 않으면 차선책으로 유동인구라도 늘려 군민이 배부르게 살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정치가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