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특위구성, 주민여론 청취, 항구복구 건의
군의회 재해특위 위원들이 수해현장을 샅샅이 누비며 피해현황을 조사 대책을 마련 항구복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8월28일부터 9월1일까지 3조로 나눠 현장조사활동을 마친 군의원들은 2일 재해특위를 열어 현장조사활동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특히 군의원들은 지방재정이 취약해 군비 부담분마저 부담하지 못할 상황인 자치단체의 복구비 확보가 가장 시급하다며 전액 국고부담을 호소하는 호소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각 지역별로 수해 현장조사활동을 벌인 군의원들은 하폭을 넓히고 또 물길을 직선화하는 등의 개량복구가 절실하다는 공통의견을 내놓았다.또한 이번 수해로 흐르던 물줄기와 같은 형태로 소하천과 세천을 바로잡는 등 소하천 직선개량화사업을 추진하고 피해가 극심한 하천변 농경지에 대해서는 경지정리식 수해복구를 통해 이중의 예산낭비를 막아야 한다는 안도 도출해냈다. 이외에 하천이 연결되는 부분의 구조물이 유수량을 감안하지 않고 작게 시공돼 병목현상을 초래, 수해를 가중시켰으며 각종 시설물의 공사 설계시 현지여건 및 주민여론을 수렴치 않고 시공함으로써 피해가 반복해서 발생한다고 지적하고 수해피해 현장 측량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한 뒤 시행하고 공사 착공 전에 해당지역 이장에게 통보해 발생되는 민원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런가하면 피해규모가 커 복구복량의 광범위한 농로와 세천, 소하천, 농경지복구 등 각종 공사를 동시 발주해 예산 및 인력, 시간낭비를 방지할 것과 매년 하천변 골재를 채취해 수해 피해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특히 간이상수도를 이용하는 마을의 경우 이번 수해로 콘트롤박스 및 관로유실 등의 피해가 나타나 그동안 방치되었던 우물을 이용하는 등의 불편을 겪고 있어 동절기 이전에 수해 지역의 먹는 물 시설복구가 추진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이번 재해특위 활동 기간 중 군의원들은 각 지역을 샅샅이 누비며 피해 조사과정에서 누락된 곳이 없나 재차 확인하고 또 주민여론을 수렴해 피해 최소화를 위한 항구복구가 실시되어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