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뭄이 지속되고 하천마다 심각한 녹조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보은지역 하천 곳곳에도 심각한 녹조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하천관리에 효율성을 기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녹조현상은 물의 흐름이 없고, 온도가 높으며, 영양물질이 많으면 발생하는 만큼 깨끗하지 않은 물에 요즘처럼 온도가 높고 비가 오지 않아 보를 막아놓은 곳에 녹조가 끼어 물이 완전한 녹색으로 변해가고 있다.
우리 보은에는 보청천, 달천 등에는 수십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다.
보가 설치되어있는 곳에는 이 가뭄에도 물이 고여 있으나 어김없이 이끼가 꽉차있으며 물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피서객이 모여들질 않는다.
실제로 백석계곡에 설치된 콘크리트보 위쪽으로는 여기저기 이끼가 끼어있는 것이 발견됐고 이곳을 찾는 피서객을 보기가 힘들었다.
이 계곡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황모 농업인은 “물이 고여 있어 더럽기 그지없다”면서 “누가 이 물을 보고 더위를 식히려고 계곡에 들어가겠느냐”고 물었다.
하류로 이어지는 원평보와, 산대보도 녹조가 심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하류로 내려갈수록 녹조의 농도는 더욱 심했고, 콘크리크보 위쪽에 차있는 수질은 더욱 안 좋았다.
하지만, 콘크리트보와 자동수문보 위쪽에 쌓인 토사적채는 달랐다.
자동수문보가 설치된 곳은 냇가바닥이 잘 보존되어 있었으나 콘크리트보에는 토사가 쌓여 냇가 지도를 바꾸고 흙이 쌓인 곳에는 풀과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자동수문보를 설치하면 토사가 쌓이지 않아 그만큼 평상시 수량도 많은양을 보유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상류와 하류가 토사로 오염되는 불합리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실제로 보은읍 동다리 아래 보청천 자동수문보는 설치한지 여러해가 지났지만 보 위쪽에 토사가 하나도 쌓이지 않고 모두 내려가고 수심이 언제나 같은 깊이를 유지하고 있어 이곳을 지나는 모든 이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있다.
보은지역의 큰 보는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지만 상류지역 대부분은 보은군에서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군의 노력이 필요하다.
보은군관계자는 “나름대로 철저를 기하고 있지만 금년에는 가뭄과 혹서로 농업용수를 적절히 공급하기위해 노력하다보니 수질에 안타까움을 느낀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물에 대해 잘 아는 이는“상류중의 상류에 속하는 우리 보은 같은 곳에서 물관리를 잘 해야 할 것”이라며 “기존의 콘크리트보로는 맑고 깨끗하고 많은 물관리가 어려운 만큼 이번 여름을 거울삼아 현명한 물 관리, 보 관리를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